유엔 무력화한 북-러 은밀한 거래…미, 北해커에 경종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북한이 러시아에 무기를 주고, 대신 석유를 받는 장면이 최근 한 민간위성을 통해 공개됐었는데요.<br /><br />이렇게 받은 기름의 양이 이미 유엔이 정한 일년치 한도를 넘어섰다고 미 고위 당국자가 밝혔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은 최근 기승을 부리고 있는 북한 해커조직에도 경고의 메시지를 보냈습니다.<br /><br />워싱턴에서 정호윤 특파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 3월 한 민간 상업위성이 촬영한 러시아 보스토치니항의 석유 저장시설입니다.<br /><br />이곳에서 러시아산 정제유를 가득 실은 북한 유조선은 일주일 뒤 청진항으로 이동했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은 3월 한 달 동안에만 러시아가 북한에 16만5천 배럴이 넘는 정제유를 공급했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그러면서 유엔 안보리가 규정한 북한의 일년치 수입 한도를 러시아가 이미 초과 공급했다고 부연했습니다.<br /><br />안보리 상임이사국인 러시아가 북한의 제재 이행을 감시해온 유엔 기구의 활동을 막은데 이어, 안보리 결의까지 노골적으로 어긴 셈입니다.<br /><br /> "러시아는 (유엔 대북제재위) 임기 연장을 거부함과 동시에 보스토치니 항구에서 북한으로 정제유를 운송해왔습니다."<br /><br />미국 정부는 항구의 근접성을 고려하면 이같은 은밀한 거래는 무한정 지속될 수 있다며, 독자 제재에 나설 뜻을 시사했습니다.<br /><br /> "미국은 호주 유럽연합 일본 뉴질랜드 한국 영국 등과 이달 중 새로운 제재안을 발표할 것입니다."<br /><br />유엔도 앞서 러시아의 거부권 행사로 지난달 말 활동이 종료된 대북제재위 전문가 패널을 대신해 새로운 독립기구를 설립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한편 미 국무부와 국가안보국은 북한 해커조직인 '김수키'에 대해 사이버 보안 주의보를 발령했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의 대북 정책과 관련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정부 당국자나 전문가에게 발신자를 위장한 이메일을 보내고 있다는 것으로, "김수키의 공격은 갈수록 뻔뻔해지고 정교해지고 있다"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워싱턴에서 연합뉴스TV 정호윤입니다. (ikarus@yna.co.kr)<br /><br />#정제유 #러시아 #북한 #김수키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