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 이스라엘과 하마스의 휴전협상이 급물살을 타고 있습니다.<br> <br>현재 휴전 담판 중인데 현지언론에선 '하마스가 협상안에 동의했다'는 보도가 나오고 있습니다. <br><br> 미국도 이번 협상이 성사되도록 어느 때보다 힘을 싣는 모습입니다.<br> <br>이솔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><br>[기자]<br>이스라엘 유력 현지매체 하레츠와 와이넷이 하마스가 이스라엘이 제안한 휴전 협상안의 모든 조항에 동의했고, 수 시간 내 이를 수용하는 발표가 나올 예정이라고 보도했습니다.<br> <br>이 협상안은 이스라엘 인질 33명을 팔레스타인 수감자 900명과 맞교환하고 약 40일간 휴전하는 내용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이스라엘은 지난달 26일 이집트를 통해 하마스 측에 이 협상안을 전달했는데 이를 수용한 것으로 추정됩니다. <br><br>다만, 최종 합의가 도출된 건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만약 이번에 휴전안이 최종 타결되면 가자 전쟁 발발 210일 만에 전쟁이 다시 한 번 잠시 멈추게 되는 겁니다. <br><br>앞서 이스라엘과 하마스는 지난해 11월 인질 100여 명을 풀어주는 대가로 1주일간 휴전했지만 그 후 추가 협상은 지지부진해왔습니다. <br> <br>현재 협상은 미국과 이집트, 카타르의 중재로 진행 중입니다. <br> <br>하마스는 대표단을 보내기 앞서 "이스라엘 측의 휴전 제안에 긍정적인 입장"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미국 측에선 윌리엄 번스 CIA 국장이 직접 협상에 나섰고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이 협상 직전 하마스를 압박하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[토니 블링컨/ 미 국무장관] <br>"(하마스가) 동의할 지를 기다리고 있습니다. 그리고 지금 이 순간의 현실은 가자지구 사람들과 휴전 사이에 있는 유일한 걸림돌이 하마스라는 것입니다." <br> <br>다만,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가자지구 최남단 라파에 대한 진격 의지를 고수하고 있어 변수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솔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: 방성재<br /><br /><br />이솔 기자 2sol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