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국민의힘은 총선 참패 원인을 분석하는 설문조사로 시끄럽습니다. <br> <br>특히 몇몇 문항이 한동훈 전 비대위원장의 책임론을 부각하기 위한 '저격성 질문'으로 보인다는 뒷말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> <br>최수연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국민의힘 총선백서 TF가 어제부터 총선 출마자와 당직자 등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는 설문조사입니다. <br><br>한동훈 전 위원장의 메시지와 지원유세가 선거에 도움이 됐냐, 한 전 위원장 원톱 체제가 효과적이었냐는 등 한 전 위원장을 직접 언급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또 한 전 위원장의 '이조심판론' '운동권청산론' 등이 도움이 됐는지도 묻습니다. <br> <br>당 일각에선 '한동훈 책임론'을 부각하려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><br>한 친한계 인사는 "TF 위원장인 조정훈 의원은 인재영입위원으로 총선에 적극 관여한 사람"이라면서 "인재영입위에 대한 문항은 왜 빠졌냐, 객관적이지 않다"고 꼬집었습니다. <br> <br>총선 출마자들 사이에서도 반발이 나왔습니다. <br> <br>[김준호 / 국민의힘 서울 노원을 조직위원장] <br>"어떤 상황 때문에 저희가 지게 됐는지 분명히 다 알고 있습니다. 지금 왜 명확하게 똑바로 말을 못하는지 저는 이해가 잘 안돼요. (국민에게) 매를 맞았고 반성해야 한다고 생각하면은 현실을 제대로 직시해야 합니다."<br> <br>하지만 총선백서TF 측은 정치적 의도는 없다고 강조합니다. <br><br>총선백서TF 관계자는 "모두가 참여한 회의에서 객관적으로 질문을 수집한 것"이라며 "김건희 여사 이슈, 정부의 상황 대응에 대한 문항도 있다"고 설명했습니다. <br><br>한편, 한 전 위원장은 어제 총선에 함께한 당직자 등과 만찬을 가졌습니다. <br><br>한 전 위원장은 "나보다 더 고생했을 경호팀과 당 실무팀들을 뵌 것"이라고 만남 계기를 설명했습니다.<br> <br>전당대회 출마 등 현안에 대한 언급은 없었고 당직자들에게 "앞으로 자주 보자"고 말한 것으로 전해집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최수연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김태균<br /><br /><br />최수연 기자 newsy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