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21대 국회 임기가 한 달도 안 남았지만, 연금개혁안은 여야 합의 기미가 보이지 않죠. <br><br>밤샘 끝장토론을 해도 모자랄 판인데, 연금특위 소속 의원들이 해외 사례를 연구하기 위해 이번 주 출장을 떠납니다. <br> <br>해외 출장 가서 합의를 보겠다는데, 시민단체는 안 되던 합의가 해외가면 되냐며 세금 써서 놀러가냐고 비판했습니다. <br> <br>이현재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><br>[기자]<br>국회 연금특위가 오는 8일, 영국과 스웨덴 등으로 5박 7일 해외출장을 떠날 예정입니다.<br><br>주호영 연금특위 위원장과 여야 간사인 유경준, 김성주 의원, 이기일 복지부 차관 등이 동행합니다. <br><br>연금개혁을 추진했던 해외 사례를 알아보고 현지에서 합의안을 만들겠다는 구상인데, 여야 입장 차이가 큰 상황에서 해외에 간다고 합의안이 나오겠냐는 비판이 제기됩니다. <br> <br>[하승수 / 세금도둑잡아라 공동 대표] <br>"(국내에서) 당 차원에서 당론 정하고 협상하고 하는 것이 필요한데. 합의를 도출하기 위해서 해외에 간다는 건 사실 상식적으로 좀 납득이 안 되는 얘기인 것 같습니다." <br> <br>천하람 개혁신당 비례대표 당선인도 "미래세대 등골 부러뜨리는 연금개악안 내놓고 포상휴가 가냐"고 비판했습니다.<br> <br>연금특위 산하 공론화위 여론조사에서는 '조금 더 내고 많이 더 받는' 소득보장론이 과반 찬성을 받았지만 여야는 아직 이견을 좁히지 못한 상황입니다. <br> <br>연금개혁 특위 한 관계자는 "출장을 다녀와서도 합의를 이루지 못할 경우 외유성 출장이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울 것 같다"고 우려하기도 했습니다.<br> <br>연금특위가 남은 임기 3주 안에 합의안을 만들지 못하면 연금개혁안은 22대 국회에서 처음부터 다시 논의해야 합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현재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: 이은원<br /><br /><br />이현재 기자 guswo1321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