푸틴 '집권 5기' 개막…내부결속 다지고 반서방 연대 강화할 듯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현지시간 7일, 취임식과 함께 다섯 번째 임기를 시작합니다.<br /><br />미국과 대다수의 유럽연합 회원국들은 불참 의사를 표시했고, 프랑스 등 일부 국가들은 참석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옵니다.<br /><br />강재은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 3월 90%에 가까운 역대 최대 득표율로 5선에 성공한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.<br /><br />모스크바 크렘린궁에서 우리 시간으로 오늘 오후 취임식을 갖고 2030년까지 이어질 6년의 임기를 공식적으로 시작합니다.<br /><br />서방 내에 러시아와의 관계 정립에 대한 시각차가 있는 가운데, 미국과 대부분의 유럽연합 회원국들은 취임식에 대사를 보내지 않을 예정입니다.<br /><br />매슈 밀러 미국 국무부 대변인은 "러시아 대선이 자유롭고 공정하게 열렸다고 생각하지 않는다"며 취임식 불참 의사를 밝혔습니다.<br /><br />반면 프랑스와 헝가리 슬로바키아 등 7개국은 참석할 수 있다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습니다.<br /><br />주러시아 한국 대사관은 참석 여부를 아직 검토 중입니다.<br /><br />푸틴 대통령은 취임식 전날 장관들과 마지막 회의를 열고 서방의 고강도 경제 제재 속에 내부 결속을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다졌습니다.<br /><br /> "우리가 직면한 수많은 제재의 목적은 단 하나였습니다. 그것은 러시아를 내부에서부터 파괴하는 것입니다.<br />우리의 적들은 성공하지 못했습니다."<br /><br />'강한 러시아'에 대한 여론을 발판 삼아 시작한 우크라이나 전쟁 중 새 임기를 시작하는 푸틴 대통령이 내부 단합을 위해 대대적인 정부 개편을 추진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.<br /><br />또 반서방 연대의 결속을 강화하기 위한 행보에도 나설 예정입니다.<br /><br />푸틴 대통령은 첫 해외 순방지로 중국을 방문해 이달 중 시진핑 중국 수석과 정상회담을 할 예정입니다.<br /><br />올해 안에 북한을 방문할 전망도 높게 관측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현대판 '차르', 즉 황제라는 별명을 가진 푸틴 대통령은 1999년 12월 보리스 옐친 전 대통령의 퇴진으로 권한대행을 맡은 이후 러시아를 통치해왔습니다.<br /><br />이번 임기를 채우면 30년 집권의 역사를 쓰게 될 푸틴 대통령은 개헌으로 이번 임기 후 한 번 더 출마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강재은입니다.<br /><br />#러시아 #푸틴 #대관식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