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수출 회복세에도 내수는 '꽁꽁'…제조업 공급 감소세

2024-05-09 0 Dailymotion

수출 회복세에도 내수는 '꽁꽁'…제조업 공급 감소세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반도체 등 글로벌 수요 증가로 수출 회복세는 빨라지고 있지만, 내수는 여전히 꽁꽁 얼어붙어 있습니다.<br /><br />내수 동향을 보여주는 제조업 제품의 국내 공급이 세 분기 연속 감소했습니다.<br /><br />강은나래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올해 1분기 제조업 국내 공급 지수는 102.5로, 전년 같은 기간보다 2.4% 줄었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3분기부터 세 분기째 '마이너스'(-)입니다.<br /><br />제조업 국내 공급 지수는 국내에서 생산하거나 수입해 국내에 공급한 제조업 제품의 실질 공급 금액을 지수화한 것입니다.<br /><br />이 지수가 하락했다는 것은 소비 주체인 기업이나 가계의 국내 수요가 그만큼 감소했다는 뜻으로, 내수 부진의 지표로 읽힙니다.<br /><br />올 1분기에는 제조업 공급이 국산은 0.6%, 수입은 6.7% 각각 감소했습니다.<br /><br />업종별로 보면 자동차 공급이 전체적으로 5.9% 감소했는데, 전기차 보조금이 3월부터 지급되면서 자동차 수요가 줄어든 영향으로 풀이됩니다.<br /><br />재화별로 보면, 상품 소비와 직결되는 소비재는 여섯 분기 연속, 생산 동향을 엿볼 수 있는 중간재는 다섯 분기 연속 하락했습니다.<br /><br />다만, 자본재는 가스·화학운반선 등을 중심으로 다섯 분기 만에 상승 전환 전환했습니다.<br /><br /> "수입 제품 중심을 공급이 줄어 자동차 등 소비재와 전자 통신 등 중간재는 감소했고, 반도체 장비 등이 늘어 자본재는 증가하였습니다."<br /><br />반도체 업황이 살아나 수출이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, 제조업 내수는 여전히 온도 차를 보이는 상황.<br /><br />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, KDI는 수출이 호조세를 지속하더라도 고금리가 계속되면 본격적인 내수 회복은 내년부터 가시화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강은나래입니다. (rae@yna.co.kr)<br /><br />#제조업_공급 #내수 #국산 #수입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