요즘 제주 들녘은 수확을 앞둔 보리가 황금 물결을 이루는데요. <br /> <br />하지만 고소득 작물에 밀리며 재배 면적이 크게 줄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당국이 경관 보전과 농민 소득 증진을 위해 기능성 보리 개발과 보급을 서두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KCTV 제주방송 이정훈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제주 들녘이 황금빛 물결로 넘실댑니다. <br /> <br />하늘을 향한 수염 속으로 알알이 박힌 보리 알이 고개를 내밉니다. <br /> <br />보리는 지난 198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제주 농민들의 주 소득 작물로, 지역 경제에서 감귤 못지않은 비중을 차지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수매 가격 하락과 고소득 작물에 밀리면서 점차 보리밭을 보기가 쉽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[조두헌 / 제주시 내도동 : (이 주변이) 전부 보리밭이었어요. 그랬는데 보리 가격이 안 (나)가고 다른 농사가 좋으니까 저것도 다 보리였는데 보리 농사를 안 해요.] <br /> <br />실제 제주 보리 재배 면적은 빠르게 줄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제주도농업기술원에 따르면 도내 맥주보리 재배 면적은 지난 2019년 2431헥타르에서 2023년 천608헥타르로, 4년 전과 비교해 66% 수준에 그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제주 농업 당국은 자연 경관 보전과 농민들의 소득 증진을 위해 기능성 보리 산업 육성에 집중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를 위해 용도별 국내 육성 보리 품종 생산 단지를 조성하고 기능성 색깔 보리 보급화에 나설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기능성 색깔 보리는 일반 보리보다 항산화 효과가 있고 다양한 가공 제품을 통해 맥주보리보다 최대 20배 가까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임충석 / 제주농업기술센터 지도사 :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서 기능성 관련 가공제품의 소비가 점차 늘어나고 있습니다. 이에 따라서 기능성 보리재배 확대 및 가공제품 생산을 통한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로 농가 소득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이에 따라 재배 단지 10ha를 조성해 색깔 보리를 생산하고 가공제품을 개발해 재배 면적을 확대할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kctv 뉴스 이정훈입니다. <br /> <br />촬영기자 : 김승철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정훈 (yhk555222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40511092345550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