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10개월 지나 수사의뢰…6년 내내 ‘123qwe’ 비번

2024-05-11 179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법원의 보안 체계도 문제였지만, 문제를 더욱 키운 '늑장 대응'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. <br> <br>해킹 사실을 뻔히 알고도 자그마치 10개월을 방치했습니다. <br> <br>비밀번호도 키보드 맨 윗줄 6글자를 한번도 바꾸지 않고 6년 내내 썼습니다.<br> <br>김지윤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법원행정처가 오늘 오후 5시쯤 홈페이지를 통해 개인정보 유출 사실을 알렸습니다. <br> <br>유출 당사자 개별 고지가 원칙이지만, 방대한 양의 개인정보를 즉시 파악할 수 없어 유출 사실만을 먼저 밝힌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> <br>개인정보가 유출됐는데, 정작 누가 어떤 피해를 봤는지 알지 못한다는 겁니다. <br> <br>당사자가 피해를 본 사실을 모르니, 법원 공지를 찾아보기도 사실상 불가능합니다. <br> <br>법원이 북한의 악성코드 '라자도어'를 처음 발견한 건 지난해 2월입니다. <br> <br>하지만 지난해 12월이 돼서야 경찰, 검찰, 국정원의 합동 수사가 시작됐습니다. <br> <br>10개월 동안 법원이 해킹 사실을 숨겼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><br>법원행정처는 지난해 2월 악성코드 발견 직후, 수사의뢰 대신 내부 자체조사에 나섰습니다. <br> <br>한 달이 지나서야 국내 보안업체 바이러스 분석 보고서를 요청해 받았습니다. <br> <br>결국 북한의 해킹 정황을 확인한 뒤에야 국가정보원에 수사를 의뢰했습니다.<br> <br>법원의 전산망 관리는 허술했습니다. <br> <br>관리자 계정 비밀번호가 숫자와 알파벳 6자리로 단순했고, 6년 넘게 단 한 번도 바뀌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이 사실은 대법원장 인사청문회 때도 지적됐습니다. <br> <br>[유상범 / 국민의힘 의원(지난해 12월)] <br>"북한에서 해킹이 발생했는데 반년 동안 법원에서 이것을 숨기고 있었습니다. 비밀번호 거기 보이시죠? '123qwe'입니다." <br> <br>대법원은 오늘 유사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면서도, 구체적인 피해 회복 방안은 제시하지 못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지윤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김기열 <br>영상편집 : 이태희<br /><br /><br />김지윤 기자 bond@ichannela.com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