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부, 알리·테무와 자율협약…위해제품 유입 막는다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대표적 중국계 온라인 플랫폼,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 이용하시는 분들 많으실텐데요.<br /><br />주로 저가 상품을 판매하는 이들 플랫폼을 거쳐 판매된 제품에서 유해물질이 기준치 이상 검출되는 등 안전 문제가 지속 발견되자 정부가 팔을 걷어붙였습니다.<br /><br />보도에 임혜준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온라인 해외 직접 규모액은 지난 21년 5조원 규모에서 꾸준히 늘어 지난해엔 6조 8,000억원에 달했습니다.<br /><br />해외 직구가 늘면서 피해 접수 사례도 증가함에 따라 정부가 팔을 걷어붙였습니다.<br /><br />최근 중국계 해외 플랫폼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 등을 거쳐 판매된 제품에서 기준치 이상의 발암물질이 검출되며 소비자 우려가 커지자, 제품 안전과 관련한 협약 추진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알리, 테무는 국내 진출한 종합몰 플랫폼 중 1위인 쿠팡 다음으로 이용자 수가 많습니다.<br /><br />공정위는 소비자 안전이 위협받는 상황에서 자율 협약 체결은 위해 제품 유입을 조기에 차단할 수 있는 성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기대했습니다.<br /><br /> "협약을 통해서 자율적인 위해제품 차단이 조기에 정착되어서 실질적인 소비자 보호대책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하겠습니다."<br /><br />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는 한국 시장 진출의 지속성을 중시하고 있다며, 규제를 준수하며 국내 소비자 보호를 위한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공언했습니다.<br /><br />알리익스프레스는 EU, 호주와 앞서 제품 안전 관련 자율협약을 추진한 경험이 있고, 테무의 경우 전세계 진출해 있는 65개국 중 우리나라와 최초로 이와 같은 협약을 맺게 된 것이라며 공정위는 의미를 부여했습니다.<br /><br />다만 강제성이 없고 처벌도 애매한 자율협약의 한계에 대한 지적도 나옵니다.<br /><br />한 위원장은 현재 소비자기본법 제정을 추진하고 있고, 플랫폼사업자에게 일정한 안전관리 책임을 부여하는 내용을 포함시키는 방안을 검토 중에 있다고 부연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임혜준입니다. junelim@yna.co.kr<br /><br />[영상취재기자 : 김봉근]<br /><br />#알리 #테무 #공정위 #유해물질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