광주 시민이 전두환 신군부의 폭압에 맞서 분연히 떨쳐 일어섰던 5·18 민주화운동 44주년이 사흘 앞으로 다가왔습니다. <br /> <br />참배 행렬이 이어지는 등 추모 분위기가 고조되고 있는데요, <br /> <br />5·18의 세계화 노력과 함께 헌법 전문 수록도 본격적으로 추진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김범환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이탈리아 베니스에 있는 대학교에 오월의 노래 '임을 위한 행진곡'이 울려 퍼졌습니다. <br /> <br />한류 열풍 속에 한국어를 배우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'5·18과 비엔날레' 특별강연 자리에서입니다. <br /> <br />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은 자신이 고등학교 때 겪은 5·18 민주화운동을 되짚어보며 당시 절도 한 건 없었던 성숙한 시민의식과 나눔·연대의 공동체 정신 등을 역설했습니다. <br /> <br />[강기정 / 광주광역시장 : 그 광장에는 많은 사람이 살아 있음을 확인하는, 많은 사람이 죽어가거나 어디론가 끌려가거나….] <br /> <br />이탈리아 대학생들은 멀리 동양에서 펼쳐진 지난 1980년 오월 민중항쟁에 깊은 관심을 나타냈습니다. <br /> <br />광주 비엔날레 특별전시회에서는 44년 전 오월의 어머니들이 시민군에게 나눴던 주먹밥 함지박 작품과 시식회가 인기를 끌었습니다. <br /> <br />[박양우 / (재)광주 비엔날레 대표이사 : 본 전시뿐만 아니라 각 나라의 다른 것을 느낄 수 있는 것은 미술이 갖는 특권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. 많이 즐겨 줬으면 좋겠습니다.] <br /> <br />독일 외신 기자 고 위르겐 힌츠페터의 끈질긴 기자 정신과 활약으로 외국에 처음으로 알려지게 된 5·18 민주화운동. <br /> <br />5·18 민주화운동은 이후 필리핀의 '노란 혁명'과 미얀마 '양곤의 봄'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사죄 한마디 없이 전두환 씨가 사망하면서 최초 발포 명령자 규명은 사실상 어려워진 상태, <br /> <br />이제 남은 것은 윤석열 대통령도 공약한 대로 5·18 민주화운동의 숭고한 정신을 헌법 전문에 넣는 것입니다. <br /> <br />[강기정 / 광주광역시장 : 5·18 관련 교육과 체험 등을 잘 준비하는 것이 우리의 과제이고, 궁극적으로 헌법 전문에 5·18 민주화운동 정신을 담는 것이 그 시작일 수 있으리라고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YTN 김범환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범환 (kimbh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40515051519224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