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초저가지만 초위험?...알리테무 유해물질 무더기 검출, 정부 대응은? [앵커리포트] / YTN

2024-05-16 47 Dailymotion

지금 보고 계신 건, 중국 온라인 플랫폼이죠, 알리와 테무에서 판매하는 제품들의 유해성분 검출 결과입니다. <br /> <br />많은 아이들이 사용하는 제품이죠. <br /> <br />유해성분이 많게는 수십 배에 달하는 품목이 한두 개가 아닌데, 일부 제품에서는 1군 발암 물질인 카드뮴이 기준치 700배 넘게 검출되면서 소비자들의 불안감이 극에 달했죠. <br /> <br />초저가이지만 사용자의 건강에는 초위험 제품일 수도 있는 상황인데, 정부가 이러한 해외 직구 상품에 대한 안전 관리, 대폭 강화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김대겸 기자의 보도로 오늘 지금2뉴스 마무리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중국 온라인 거래 플랫폼인 '알리'와 '테무'에서 판매된 각종 어린이용 제품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, 서울시가 발표한 조사에서 생식 독성 물질인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기준치의 350배 가까이 검출됐습니다. <br /> <br />일부 제품에서는 납 함유량이 기준치의 30배를 훌쩍 넘겼습니다. <br /> <br />관세청 조사에서도 카드뮴 등 발암물질이 검출됐는데, 기준치의 최대 700배에 달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처럼 반복된 문제에 정부가 해외 직구 제품들에 대한 관리를 대폭 강화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[이정원 / 국무조정실 국무2차장 : 그러한 위해 제품이 국내에 들어와서 소비자들이 그걸 잘 모르고 쓰게 만들지는 않겠다. 이게 이번 대책의 한 가지만 꼽으라면 제일 큰 게 그거고요.] <br /> <br />우선 물놀이 기구나 유모차 등 어린이 제품 34개 품목에 대해선 국내 인증 절차를 필수록 받도록 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, 화재 위험성이 큰 전기·생활용품 34개 품목은 KC 인증을 필수로 받도록 하고, 가습기 소독제나 살균제 등 생활화학제품 12종도 환경부 신고와 승인을 의무화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 밖에 납이 포함됐을 우려가 있는 수도꼭지류나 하수 수질 악화 가능성이 있는 주방용 오물 분쇄기는 통관 단계에서부터 인증 여부를 별도 확인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피해 구제 대책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국내 대리인을 의무적으로 지정하도록 해 국내 소비자 피해나 불법 제품 유통에 대한 제재 실효성을 높이겠다는 구상입니다. <br /> <br />그동안 부처별로 흩어져 운영해온 해외 직구 관련 사이트들은 공정위가 운영하는 '소비자 24'로 통합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위해성 물품이나 해외 리콜 정보 등을 안내하고 분쟁 관련 상담·신고 서비스도 제공할 방침입니다. <br /> <br />[이정원 / 국무조정실 국무2차장 : 해외 직구 유의사항, 유해 제품 ... (중략)<br /><br />YTN 나경철 (nkc8001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40516150057743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