빌라 대신 아파트 선호·계약 갱신도 늘어 <br />아파트 전세가 오름세 당분간 계속될 가능성 커 <br />"전세가 상승이 매매가 밀어 올릴 수준은 아냐"<br /><br /> <br />서울 아파트 전셋값이 52주, 만 1년 동안 한 주도 빠지지 않고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전세 매물과 월세 상황을 고려할 때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앞으로도 더 오를 전망인데, 아직은 매매가를 밀어 올릴 정도는 아니라는 분석입니다. <br /> <br />김기봉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이달 둘째 주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전주보다 0.07% 또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5월 셋째 주 오름세로 돌아선 뒤 52주간, 만 1년을 쉼 없이 올라 5.19%가 뛰었습니다. <br /> <br />전세 사기 등의 위험을 피해 빌라 대신 아파트를 찾는 수요가 늘어난 데다, 계약 갱신을 통해 살던 집에 눌러앉는 경우가 늘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이렇다 보니 현재 서울 아파트 전세 매물은 지난해 같은 날보다 4분의 1이나 줄어 전셋값을 더욱 부추기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아파트 전셋값 상승 현상은 서울이 가장 두드러지지만 전국적으로도 비슷한 모습인데, 당분간 더 오를 거라는 전망이 유력합니다. <br /> <br />우선 올해 전국 아파트 입주 물량은 35만여 가구로 지난해보다 좀 줄었는데, 내년엔 24만, 내후년엔 14만여 가구로 더 가파르게 줄어들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월셋값 상승도 하나의 요인입니다. <br /> <br />[윤지해 / 부동산R114 리서치팀장 : 최근 들어서는 전세와 월세 비중이 5대 5 비중까지 균등하게 배분되고 있기 때문에 월세 시장 쪽에서의 가격 상승은 전셋값 상승을 압박하는 요인으로 작동합니다.] <br /> <br />하지만 전셋값 상승이 아직 매매가를 밀어 올릴 상황은 아니라는 분석이 유력합니다. <br /> <br />서울 아파트 전셋값이 최근 1년 새 5% 정도 올랐지만, 재작년 8월 이후 20%가 떨어진 상황이라 아직 과열 상황은 아니라는 겁니다. <br /> <br />또, 서울 아파트의 매매가 대비 전셋값의 비율이 53% 수준에 머물고 있는 것도 이유의 하나입니다. <br /> <br />[박원갑 / 국민은행 부동산 위원 : 전세가 비율이 60%는 넘어서야 매매 가격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이고요, 현재는 그 비율이 낮아서 갭투자가 유입되기도 어려운 상황이어서 (매매가를 자극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.]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서울 내에서도 구축이나 비역세권은 상대적으로 전세 매물이 많은 편인 만큼 세입자들의 보다 꼼꼼한 매물 조사가 필요해 보인다고 조언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기봉입니다. <br /> <br />영상편집 : 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기봉 (kgb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0516231959697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