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스라엘과 하마스의 휴전·인질 석방 협상을 중재하는 이집트의 압델 파타 엘시시 대통령은 "이스라엘이 가자지구 휴전을 이루려는 노력을 계속 회피하고 있다"고 주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엘시시 대통령은 현지 시간 16일 바레인 마나마에서 열린 아랍연맹, AL 정상회의에서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라파 지상 작전을 비판하면서 이렇게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는 이스라엘이 라파를 가자지구 포위망 강화에 이용하고 있다면서 "군사적 해법으로 안보를 달성할 수 있다는 생각은 망상일 뿐"이라고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집트와 이스라엘은 지난 7일 이스라엘의 라파 국경검문소 장악 이후 가자지구 구호 차질로 인도적 위기가 발생한 것을 두고 네 탓 공방을 벌였습니다. <br /> <br />마무드 아바스 팔레스타인자치정부 수반은 가자지구 전쟁의 원인을 하마스에 돌렸습니다. <br /> <br />그는 이날 정상회의에서 "작년 10월 7일 하마스의 일방적인 결정으로 수행된 군사 작전이 이스라엘에 전쟁을 벌일 구실을 제공했다"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요르단강 서안에서 행정부 역할을 하는 PA는 가자지구를 통치하는 하마스와 정치적 경쟁 관계에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마스 정치지도자인 이스마일 하니예는 중재국 카타르와 이집트가 제시한 휴전안에 이스라엘이 수정안을 내놓으며 협상을 교착 상태에 빠뜨렸다고 주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는 "우리는 이집트와 카타르의 형제들이 최근 제안한 휴전안에 동의한다고 발표했고 이는 미국에도 전달됐다"며 "그러나 이스라엘은 라파 검문소를 점령하고 이 지역을 침략하는 방식으로 제안에 응답했다"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아울러 그는 하마스를 배제한 전후 가자지구 구상에 대한 어떤 합의도 거부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아랍연맹 22개 회원국 정상이 한자리에 모인 것은 지난해 11월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이슬람협력기구(OIC)와 함께 연 특별정상회의 이후 이번이 처음입니다. <br /> <br />당시 회의에서 AL과 OIC 회원국 지도자들은 가자지구를 무차별로 공습하는 이스라엘을 규탄하면서도 징벌적 경제 제재나 정치적 조처를 하지는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황보선 (bosun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40516233556542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