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■ 방송 : 채널A 뉴스A 라이브 (11시 50분~13시 20분)<br>■ 방송일 : 2024년 5월 17일 (금요일)<br>■ 진행 : 황순욱 앵커<br>■ 출연 : 강전애 국민의힘 법률자문위원, 김수민 정치평론가, 성치훈 민주당 정책위 부의장, 송영훈 국민의힘 법률자문위원<br><br>[황순욱 앵커]<br>어제 있었던 이 소식. 굉장히 시끌시끌하게 했었죠. 민주당 국회의장 후보 경선에서 우원식 의원이 깜짝 승리를 거뒀죠. 어제 그 현장을 영상으로 짧게 준비했습니다. 이번 경선 결과를 놓고 친명계가 주도한 무리한 교통정리가 역풍을 불러온 것이 아닌가, 이런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. 한 중진 의원은 3선짜리가 5·6선을 정리하는 것이 말이 되나. 이런 말도 나왔다고 하고요. 다들 경선 결과에 재밌어한다. 교통정리를 하는 바람에 반감을 키우면서 우원식 의원이 선출이 된 것이다, 이런 분석도 있고요. 또 최근 상황이 추대·낙점 이런 것을 계속 반복하다 보니까 이런 기류에 대한 제동으로 봐야 한다. 당 대표 추대 이러다가 추미애 국회의장 또 추대 이런 식으로 추대가 반복되는 것은 이미지 상 좋지 않았기 때문이다, 이런 분석도 있네요. 추미애 당선인이 탈락한 배경을 두고 이런 의견도 있습니다. 한 번 들어보실까요? 결국에는 추미애 후보의 과거 행보가 발목을 잡은 것이다, 이런 분석이네요.<br><br>[성치훈 민주당 정책위 부의장]<br>개인의 과거 행보가 의원들이 비판적으로 보는 부분이 있다. 대표적인 것이 2009년 반복되어서 이야기하는 것이 환노위원장 때 당론과 대치되는 안을 한나라당 의원들과 함께 문을 걸어 잠그고 통과시켰던 적이 있거든요. 그것이 대표적인 사례이고. 그리고 2004년 노무현 대통령 탄핵소추 때도 야당에 위치해서 그것을 주도했던 역할도 했었습니다. 그리고 또 있습니다. 문재인 정부 때 사실 법무부 장관을 했음에도 작년부터 문재인 대통령에 대한 비난. 이런 여론을 앞장서서 말했던 것이 친문 의원들, 친노 성향이 있는 의원들 이런 의원들에게 스킨십이 부족하지 않았나.<br><br>저는 그렇기 때문에 사실 이번 국회의장 선거는 공교롭게 교통정리가 두 명으로 결선 투표제를 도입하지 않고도 되기는 했지만 결선 투표제를 말할 때 콩도르세 패자라는 용어가 있거든요. 4명이 다 있을 때는 이 사람이 1등이지만 1대 1로 붙게 되면 꼭 다 지는 사람이 있습니다. 저는 추미애 당선인이 그 정도의 위치에 머물렀다. 우리가 흔히 기억하는 1987년 노태우 대통령과 양 김 분열됐을 때 그 선거를 예로 많이 드는데 그런 것처럼 추미애 당선인이 아마 결선 투표제가 없었으면 당선이 됐을 텐데 결선 투표제가 공교롭게 이루어지면서 이런 선택에 역 선택이나 이런 것들이 어우러지면서 의외의 결과가 나왔다, 이렇게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.<br><br>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<br>* 위 텍스트는 실제 토크 내용의 일부분입니다. 전체 토크 내용은 동영상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<br>* 정리=김지현 인턴<br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