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최근 정부가 국가통합인증마크, KC인증이 없는 제품의 해외 직구를 차단하겠단 방침을 발표하자 일부 소비자들이 불만을 표출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정부는 최소한의 안전장치를 마련하겠단 취지지만 내가 사고 싶은 물건 내 마음대로 사지도 못한다는 일부 반발이 나오는 겁니다.<br> <br>김재혁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지난 16일 정부는 어린이용품과 전기·생활용품 80개를 정해 KC 인증이 없으면 해외 직구를 금지하는 방안을 내놨습니다. <br> <br>어린이 유모차와 장난감, 전기온수 매트나 전기 헬스기구 같은 제품들입니다. <br> <br>최근 중국 쇼핑 플랫폼 알리와 테무에서 파는 어린이 제품 등에서 발암물질이 나오는 등 문제가 계속되자 위해 제품 관리를 강화한다는 취지입니다. <br> <br>실제 올해 1분기 해외 직구 매출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56.9%로 미국과 유럽을 크게 앞섭니다.<br> <br>지난해 해외 직구 거래 규모는 7조 원에 달할 정도 급성장했습니다. <br> <br>이렇다보니 해외 직구 규제가 구매 선택권을 제한하는 것 아니냐는 소비자들의 우려도 나옵니다. <br> <br>[남경식 / 서울 강동구] <br>"소비자들이 피해 볼 수 있다는 생각이 많이 들어요. KC 인증을 받아야 (수입이 가능)하면 소비자들의 선택지가 많이 줄어들기 때문에…." <br> <br>[강용석 / 부산 해운대구] <br>"정식(수입)이랑 가격이 비슷해지거나 그런 식으로 인증을 받아버리면 직구를 하는 의도 자체가 없어지지 않나." <br> <br>이번 규제로 중국 제품뿐만 아니라 미국과 유럽 등에서 인증을 받은 제품도 KC 인증을 받지 않으면 직구가 불가능해집니다. <br> <br>온라인 커뮤니티에서도 불만이 속출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정부는 논란이 일자 "80개 품목의 해외 직구가 당장 금지되는 것은 아니"라며 위해성이 확인된 제품의 반입을 우선 차단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재혁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장명석 <br>영상편집 : 이혜진<br /><br /><br />김재혁 기자 winkj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