제주도에서 이상기후 등에 따른 이른바 '벌마늘' 피해가 확산하면서 당국이 지원책 마련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수매가가 낮은 데다 비계약재배 물량에 대한 지원 방안은 뚜렷하지 않아 농가의 반발을 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KCTV 제주방송 김지우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2차 생장으로 마늘쪽이 2배가량 많아져 상품성을 잃게 되는 이른바 벌마늘 현상. <br /> <br />제주도가 마늘 농가를 대상으로 2차 생장 발생 상황을 조사한 결과 57.8%가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평년 대비 10배 이상 높은 발생률인데 잦은 비와 높은 기온, 일조량 부족 등 이상기후가 원인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원 방안을 강구하기 위해 열린 간담회에서 농가들은 이번 사태로 유례없는 피해를 입었다고 토로했습니다. <br /> <br />[김대승 / 안덕면 마늘 농가 : 저도 45년 동안 마늘을 했지만 이렇게 많은 피해가 가본 적은 없습니다. 마늘이 진짜 형편없습니다. 농민들은 비료값, 농약값 한 푼 농협에 물을 능력이 없어졌습니다.] <br /> <br />제주도는 농림축산식품부에 피해 지원을 요청했고, 농업재해로 인정돼 재난지원금 지급 등 정부 지원이 이뤄질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이와 별도로 정부와 농협은 채소 가격 안정제 사업비 49억7천만 원을 투입해, 벌마늘 피해를 입은 계약재배 물량을 수매할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다만, 정부와 지자체, 농협, 생산자 단체 등이 참여하는 마늘 주산지협의회가 수매 단가를 kg당 2천400원으로 정하면서 농가 반발이 거세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농가에서 요구했던 kg당 3천 원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정부 승인이 남았지만, 최종 수매가는 2천400원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을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게다가 채소 가격 안정제의 사업비 분담률로 인해 수매가의 20%를 농가가 부담해야 점도 반발을 키우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이경진 / 제주 한경면 마늘 농가 : 자부담 부분들을 농민들이 굉장히 실망하고 되게 힘들어하고 있습니다. 대승적으로 생각해서 농가들이 그래도 조금 숨통 틔게 해줬으면 하는 바람입니다.] <br /> <br />제주도가 벌마늘 피해 신고를 받은 결과 1천360여 농가에서 500ha가 접수됐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와 농협은 벌마늘 피해가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고 피해 물량이 적지 않아 수매가를 높이긴 어렵다는 입장입니다. <br /> <br />[이춘협 / 농협경제지주 제주본부 부본부장 : 조합장님들은 3천 원을 계속 주장했습니다. 정부 입장에서는 이걸 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지우 kctv (yhk555222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40519063524215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