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꺾일 줄 모르고 오르고 있지만 빌라 등 비아파트는 역전세의 여파가 이어져 힘든 곳이 많습니다. <br /> <br />집주인이 전세보증금을 제때 돌려주지 않아 발생한 전세 보증사고 규모가 올해 들어 넉 달 동안에만 무려 2조 원대에 육박하고 있는데, 뾰족한 대책은 없는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최두희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52주 연속 상승하며 1년 연속 오름세를 이어간 서울 아파트 전셋값 <br /> <br />신규 매물이 줄어든 데다 전세사기 우려로 인해 빌라에서 아파트로 전세 수요가 이동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반대로 수요가 빠져나가는 비아파트, 특히 빌라는 전셋값이 떨어지는 역전세 현상이 계속 이어지는 곳이 많습니다. <br /> <br />이렇다 보니 전세보증금을 돌려주지 못하는 전세 보증사고 규모도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김지희 / 주택도시보증공사 언론팀장 : 올해 전세보증 사고 금액은 1조 9천억 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76%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이 추세대로라면 올해 연간 사고액은 역대 최고치였던 지난해 사고액 4조3천347억 원을 웃돌 가능성이 큽니다. <br /> <br />마찬가지로 전세보증금 반환을 놓고 집주인과 세입자 간 실랑이도 꾸준히 늘어나는 추세입니다. <br /> <br />빌라 전세는 피하고 싶은데, 높은 금리로 아파트 전세가 여의치 않자 아예 월세로 돌리는 사람이 늘어나면서 월세 비중은 거의 전세 수준까지 높아졌습니다. <br /> <br />아파트 전세는 너무 올라서 탈이고 비아파트는 수요 이탈 속 역전세 현상을 보이는 양극화 상황에서 정부는 고심을 거듭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조만간 전세 대책을 내놓을 예정이지만 근본 대책인 공급 물량이 제한된 상태여서 묘책을 기대하긴 어려워 보입니다. <br /> <br />[윤지해 / 부동산R114 리서치팀장 : (정부 대책은) 임대시장에서 임대사업자 활성화와 관련해 임대인들이 양질의 물건들을 시장에 내놓을 수 있게 장기 임대 형태로 돌릴 수 있게 이런 형태들로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형태가 되지 않을까….] <br /> <br />무엇보다 전세사기로부터 세입자를 보호하는 방법을 놓고 정부와 야당이 다른 목소리를 내고 있는 상황이어서 양극화된 전세 시장을 정상화하기는 쉽지 않아 보입니다. <br /> <br />YTN 최두희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최두희 (dh0226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0520181101539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