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윤석열 정부 이번주 들어 정책 혼선이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><br>해외 직구, 고령자 조건부 운전면허에 이어 이번엔 공매도 혼선까지 겹쳤는데요. <br><br>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공매도 재개를 시사하는 발언을 했는데, 대통령실은 재개는 없다며 선을 그었습니다. <br> <br>유찬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대통령실은 오늘 최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언급한 '6월 공매도 일부 재개 가능성'을 일축했습니다. <br> <br>확정되지도 않은 정책을 금감원장이 먼저 언급하자 수습에 나선 겁니다. <br><br>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"불법 공매도 문제를 해소하고 투자자가 신뢰할 시스템이 갖춰질 때까지 공매도는 재개하지 않는다"고 밝혔습니다.<br> <br>[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(지난 1월)] <br>"(공매도가) 선거 끝나면 풀릴 거라고 하는 분들도 있지만,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. 부작용을 완벽하게 해소할 수 있는 전자 시스템이 확실하게 구축이 될 때 이걸 푸는 것이지." <br> <br>앞서 이복현 원장은 현지시간 16일 미국 뉴욕 행사 직후 기자들과 만나 공매도 재개 가능성을 내비쳤습니다. <br> <br>[이복현 / 금융감독원장 (현지시간 16일)] <br>"제 개인적인 욕심 내지는 계획은 6월달에 재개를 하면 하는 거고, 재개를 하더라도 일부만 할 수 있는 거고." <br> <br>이 원장 발언이 알려진 뒤 공매도 금지를 요구해온 개인투자자들 사이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습니다. <br> <br>정부는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6월까지 공매도를 전면 금지했는데 이 원장이 재개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시장은 들썩였습니다. <br> <br>이에 여론 악화를 우려한 대통령실이 금감원장에 경고의 메시지를 보낸 것이란 해석도 나왔습니다. <br> <br>금감원은 "대통령실과 입장이 같다"고 진화에 나섰지만 혼란은 고스란히 개인투자자에게 전가됐습니다. <br><br>이어지는 혼선에 정부에 대한 신뢰가 흔들리고 있습니다. <br><br>채널A 뉴스 유 찬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: 이혜리<br /><br /><br />유찬 기자 chanchan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