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가격 고공 행진에 부담 커진 캐나다 주택시장, 동포사회 상황은? / YTN

2024-05-25 9 Dailymotion

캐나다에선 최근 몇 년 새 집값이 크게 올라 시민들의 고충이 이만저만이 아닌데요, <br /> <br />게다가 오는 2026년엔 집값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할 것이란 전망이 줄을 이으면서 한인 동포들도 한숨이 절로 나올 지경입니다. <br /> <br />연방정부가 집값을 잡겠다며 외국인이 주택을 구입할 수 없도록 한 법안을 연장하겠다는 의지는 밝힌 상황인데, 한인 동포사회는 어떤 상황인지 캐나다로 가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[해설] <br />자녀가 결혼한 뒤 살 집을 알아보고 있다는 캐나다 동포 김준희 씨, <br /> <br />여기저기 매물을 보며 돌아다니고는 있지만 부쩍 오른 집값에 고민만 깊어갑니다. <br /> <br />[김준희 / 캐나다 토론토 : 임대료가 지금 무척 많이 올랐어요. 지역이나 위치에 따라서 다르지만, 2천5백(캐나다 달러)에서 3천 그렇게 되는 것으로 알고 있어요.] <br /> <br />오는 2026년이면 집값이 최고치에 이를 것이란 전망까지 심심치 않게 나오고 있는데, <br /> <br />이미 지난 3월 캐나다 임대료 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8.5%나 뛰어 무려 41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밴쿠버에서 방 1개 평균 월세는 2천7백 캐나다달러, 우리 돈 약 270만 원이었는데 3년 전에 비하면 42.1% 오른 금액입니다. <br /> <br />이렇게 높은 월세가 부담스러운 만큼 차라리 주택을 매입하는 게 이득인 경우도 있지만, <br /> <br />캐나다 정부가 지난 2023년 발표한 외국인 주택 구매 금지 법안을 2026년까지 연장하겠다고 밝히면서 주택 매입 의사가 있는 한인들 사이에선 혼란만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외국인 주택 구매 금지는 최소 3년 이상 캐나다에 세금을 낸 외국인에게는 예외를 인정하고는 있지만, <br /> <br />방문 비자로 들어온 유학생 부모나 캐나다에서 취업하지 못한 경우에는 다른 선택지가 없긴 매한가지입니다. <br /> <br />[임나은 / 캐나다 10년 거주 유학생 : 제 친구들 얘기 들어보면 3~4년 전에는 적어도 1천8백 캐나다 달러면 원베드 괜찮은데 구할 수 있었는데 요즘에는 기본은 2천1백에서 2천2백 정도는 돼야지 원베드를 그래도 안전한 지역에 구할 수 있다고 들었습니다.] <br /> <br />[이지선 / 캐나다 토론토 4년 거주 : 제가 왔을 때에 비해서 한 30% 정도는 오른 것 같습니다. (유학생 등) 아무래도 많이 임대료가 많이 상승해서 많이 힘들어하고 있죠.] <br /> <br />이처럼 캐나다에 부는 주택난의 원인으로는 일선 지자체의 과도한 건설 규제와 외국인 유입 증가 등이 꼽힙니다. <br /> <br />실제 지난해 캐나다... (중략)<br /><br />YTN 정영아 (khj87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40525231659108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