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오늘 한일중 정상회의가 4년 5개월 만에 열렸습니다. <br> <br>북한이 이른바 '위성'을 발사하겠다고 한 상황에서 북핵 등에 대한 논의가 이뤄질지 관심입니다. <br><br>용산 대통령실 연결해 자세한 소식 들어보죠. <br> <br>조영민 기자, 한일중 정상이 만나서 어떤 논의를 했습니까?<br><br>[기자]<br>오전 10시부터 시작된 한일중 정상회의는 조금 전 끝났습니다. <br> <br>3국 정상은 공동기자회견을 통해서 4년 5개월 만에 열린 정상회의 결과를 공동선언문 형태로 밝힐 예정입니다. <br> <br>3국의 협력관계 정상화 내용이 주를 이룰 걸로 보이는데, 역시 관심은 북핵 문제에 대해 얼마나 진전된 결과물이 나올지 여부입니다. <br> <br>오늘 정상회의에서 윤석열 대통령,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, 리창 중국 총리는 차례로 짧은 모두발언을 했습니다. <br> <br>3국 정상은 모두 공통으로 한일중 세 나라의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데 공감대를 나타내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특히 한일 정상이 북한의 위성발사 예고를 언급한 부분이 눈에 띕니다. <br> <br>윤 대통령은 탄도미사일 기술을 활용한 모든 발사는 유엔안보리 결의를 정면으로 위반하며 평화를 위협하는 행위에 대해서는 단호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> <br>뒤이어 발언한 기시다 총리 역시 북한을 향해 강력한 중지를 요구한다며 북한 정세에 관한 3국간 의사소통을 강화하는 기회로 삼고자 한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가장 마지막에 발언한 리창 중국 총리는 북한과 관련한 공개발언은 내놓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오히려 비배타적인 3국 협력, 집단화와 진영화 반대, 경제무역의 범정치·안보화 받내 같은 메시지를 냈습니다. <br> <br>공고한 한미일 체제 등 미국 중심의 세력화를 의식한 발언으로 해석됩니다. <br> <br>한일중 정상은 오늘 정상회의 후에는 3국 경제인들을 격려하는 비즈니스 서밋에도 참석할 예정입니다. <br> <br>지금까지 용산 대통령실에서 채널A 뉴스 조영민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한규성 조승현 <br>영상편집 : 이승은<br /><br /><br />조영민 기자 ym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