중국은 3국 정상회의 재개를 통해 공급망과 첨단기술 협력 강화를 촉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자국에 대한 봉쇄·압박 전략을 펴고 있는 미국을 겨냥한 메시지로도 풀이되는데요. <br /> <br />이번엔 중국으로 가봅니다. 강정규 특파원!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베이징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한일 양국과 협력, 중국은 어떤 맥락에서 접근하고 있나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리창 총리는 공동성명 기자회견에서 3국 간 경제·무역 연계를 더욱 심화시키자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역내 산업망·공급망 강화와 한일중 FTA 협상 재개도 촉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AI, 디지털 경제, 녹색 산업 등 첨단 과학기술 협력과 문화·인적 교류 확대도 강조했는데요. <br /> <br />공급망과 첨단기술 분야에서 자국을 봉쇄하려는 미국을 겨냥한 메시지로 풀이됩니다. <br /> <br />한미일 '반중 공조'를 쪼개 놓는 전략적 의미가 담긴 건 겁니다. <br /> <br />중국의 대외 선전 매체 환구시보에도 비슷한 논평이 실렸는데요. <br /> <br />이번 회의를 한일 양국의 '친미' 노선 조정 신호로 풀이하면서 기대감을 드러낸 겁니다. <br /> <br />그동안 미국이 '북중러 대 한미일' 진영 대립과 신냉전을 부추겨왔다고 꼬집기도 했는데요. <br /> <br />중국은 균형 외교를 추구하겠단 의지의 표현이자, 최근 북러 밀착에 대한 견제 메시지로도 읽힙니다. <br /> <br />리창 총리가 한반도 문제의 정치적 해결을 위해 각 측의 자제를 요구한 것도 같은 맥락입니다. <br /> <br />한국과 일본, 미국은 물론, 북한을 향해서도 군사 대치 대신 대화를 촉구한 거로 풀이됩니다. <br /> <br />4년 5개월 만에 재개된 한일중 정상회의, 우리 입장에선 북중러 삼각 공조에 대한 역공세로 활용할 수 있겠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베이징에서 YTN 강정규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강정규 (live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40527160846269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