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한일 정상은 오늘도 유엔안보리 결의 위반이라고 경고했지만 북한은 아랑곳하지 않고 군사정찰위성 2호를 발사하겠다고 예고했습니다. <br> <br>우리 군은 곧바로 군사 훈련을 펼쳐 맞대응했는데요. <br> <br>국방부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<br><br>1. 배정현 기자, 북한이 곧 정찰위성을 쏘겠군요.<br><br>[기자]<br>네, 그렇습니다. <br> <br>북한은 이르면 오늘 밤 군사정찰위성 2호를 발사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><br>한일중 정상회의가 끝나자마자 도발을 감행하는 것으로 세 나라의 협력에 찬물을 끼얹고 존재감을 과시하려는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앞서 북한은 오늘 새벽, 다음달 4일까지 위성을 발사하겠다고 일본 정부에 통보했죠,<br><br>지난해 1, 2차 발사 때는 예고한 첫 날, 발사에 성공한 11월 3차 때는 예고보다 1시간 앞당겨 발사한 만큼 날씨 조건만 맞으면 첫날인 오늘 감행할 가능성이 큽니다. <br> <br>지난해 11월 궤도에 안착한 '만리경-1호' 이후 6개월 만으로 그 후 얼마나 성능 개량이 이뤄졌는지가 관심입니다. <br> <br>정부 고위 관계자는 최근 러시아 개발진들이 대거 방북했으며 엔진 연소시험을 예상보다 많이 실시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. <br> <br>2. 그럼 우리 군은 지금 어떻게 대응하고 있습니까?<br> <br>우리 군도 즉각 대응 훈련에 나서며 북한에 경고 메시지를 보냈습니다. <br><br>합참은 오늘 낮 1시쯤부터 전방 중부지역 비행금지선 이남에서 전투기 20여 대를 동원해, 공격편대군 비행훈련과 타격 훈련을 실시했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'즉각', '강력히', '끝까지' 응징하겠다는 의지와 능력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라도 강조했습니다. <br> <br>통일부도 "긴밀한 한미일 공조를 바탕으로 북한의 어떠한 도발에도 단호히 대응하겠다"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지금까지 국방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이호영 <br>영상편집 : 이혜진<br /><br /><br />배정현 기자 baechewing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