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일중, 협력체제 복원 '첫발'…한중관계 회복 전기되나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(이처럼) 오랜만에 재개된 한일중 정상회의에서 우리나라는 의장국으로서 성공적인 회의 개최를 이끌었는데요.<br /><br />특히 한중관계 개선으로 동북아 협력 체제 복원의 첫발을 뗐다는 평가도 나옵니다.<br /><br />구체적인 내용을 최지숙 기자가 짚어봤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한일중 협력 25주년을 맞은 올해, 3국은 서울에서 열린 제9차 한일중 정상회의에서 4년여 만에 관계 복원의 전기를 마련했습니다.<br /><br /> "이 회의가 3국 협력의 새로운 출발과 도약을 기약하는 역사적인 이정표가 되기를 기대합니다."<br /><br />한일중 정상회의가 마지막으로 열렸던 건 2019년 12월.<br /><br />그 사이 한미일 결속과 동시에 '한미일 대 북중러'의 신냉전 구도 고착화 우려가 제기됐지만, 윤 대통령은 지난해 정상외교를 계기로 직접 한일중 정상회의 개최를 제안하며 협력의 물꼬를 텄습니다.<br /><br />한국이 의장국을 맡은 이번 회의에선 협력의 제도화를 담은 공동 선언문이 채택됐고, 세 정상은 연이어 공동 기자회견을 함께 하며 협력 의지를 천명했습니다.<br /><br />또 마지막 공식 일정인 '한일중 비즈니스 서밋'에도 나란히 연사로 나서 경제인들을 격려하며 협력 관계를 과시했습니다.<br /><br /> "한일중 경제인들이 힘을 모은다면 우리 3국이 세계를 이끄는 주역이 될 것이라고 확신합니다. 바로 이 자리가 그 시작이 되기를 기대합니다."<br /><br />특히 이번 회의는 경색됐던 한중 관계 개선의 계기가 됐다는 분석입니다.<br /><br />한중 회담 성과 중 하나인 '한중 외교·안보 대화' 신설은 중국 측이 먼저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또 한중 수출통제대화체 출범 등 경제 분야에서 다양한 성과도 냈는데, 미중 갈등 격화와 한미일 협력 공고화 속에 한중 관계 관리에 대한 양측의 필요성이 맞아떨어진 결과라는 해석도 있습니다.<br /><br />한일 회담에선 라인야후 사태에 대해 두 정상이 긴밀한 소통을 약속하고, 강제징용 배상 문제와 관련한 '한일 미래 파트너십 재단'의 협력 규모를 키운 점도 주목할 부분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민감한 주제는 심도 있게 논의되지 않았고 북핵 문제도 각자 입장을 제기하는데 그치는 등 협력 복원의 첫 발은 뗐지만, 넘어야 할 산이 여전함을 확인한 자리이기도 했다는 평가 역시 나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최지숙입니다. (js173@yna.co.kr)<br /><br />#한일중_정상회의 #윤석열_대통령 #중국 #일본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