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부, 의료개혁 속도…의대교수들, 대통령실에 공개 질의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정부의 의대 증원 정책에 반발한 전공의들이 병원에 사직서를 내기 시작한 게 내일(29일)이면 100일입니다.<br /><br />정부와 의료계는 모두 대화 의지가 있다면서도 각자 입장을 한 치도 양보하지 않으면서 이렇다 할 대화 창구는 만들지 못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취재기자 연결합니다.<br /><br />임광빈 기자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정부는 내년도 의대 입학정원을 확정한 이후 '의료개혁' 정책 추진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동시에 의료개혁 과정에서 전공의와 의대생들의 의견을 최우선 반영하겠다며 병원과 학교로 복귀할 것을 거듭 촉구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, 지난 2월 사직서를 내고 병원을 떠난 전공의들의 복귀 움직임은 미미한 수준입니다.<br /><br />지난 23일 기준 주요 수련병원 100곳의 전공의 1만명 가운데 675명만 병원에 남아 있어 출근율은 6.8%에 불과한 상황입니다.<br /><br />정부는 각 수련병원장들에게 공문을 보내 전공의와 개별 상담을 통해 복귀 의사를 확인해 보고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.<br /><br /> "전공의 개인 복귀 의사를 개별적으로 묻고 있습니다. 진의인지, 부당한 압력에 의해서 복귀하지 못하는지…."<br /><br />전공의들의 이렇다 할 움직임이 없는 가운데, 의대교수들은 정부가 내년도 증원 절차를 중단한다면 당장이라도 대화를 시작할 수 있다는 입장을 재차 밝히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서울대의대 교수들은 오늘 오전 서울프레스 센터에서 '대통령실 레드팀께; 의료개혁, 이대로 좋습니까'라는 내용의 기자간담회를 열 계획입니다.<br /><br />이대로 의대 증원이 추진된다면 머지않아 의료파국을 맞게 될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대통령실이 연금개혁과 관련해 '수치보다 타협 절차가 중요하다'면서 쫓기듯 결정할 문제가 아니라고 강조한 점 등을 언급하며, 올바른 의료개혁을 위한 타협을 강조할 예정입니다.<br /><br />이런 가운데, 전공의가 이탈한 의료현장을 지켜 온 간호사들이 21대 국회에서 간호법안이 처리되지 않을 경우 법적 보호 없는 모든 의료조치를 중단하겠다고 밝혀 의료공백이 더 커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보도국에서 전해드렸습니다.<br /><br />임광빈 기자 (june80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