낚싯줄이 종달이가 움직일 때마다 고통 줘 <br />지난 1월 꼬리 뒤 낚싯줄만 제거 성공 <br />종달이 포획해 낚싯줄과 낚싯바늘 제거 시도 <br />구조 방식 전환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와<br /><br /> <br />지난해 11월 낚싯줄에 걸린 채 발견된 새끼 남방큰돌고래 '종달이' 들으신 적 있으실 겁니다. <br /> <br />'종달이'가 자라면서 고통이 커지고 있어서 여러 차례 구조작업이 시도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일각에서는 빠른 구조가 필요하다며 구조 방법의 전환을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고재형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돌고래가 헤엄쳐 보지만 나아가지 못합니다. <br /> <br />낚싯줄에 걸린 새끼 남방큰돌고래 '종달이'입니다. <br /> <br />낚싯줄이 '종달이' 입부터 꼬리까지 이어지며 움직임을 방해하고 고통을 주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오승목 / 다큐 제주 감독 : 주둥이에서부터 해서 꼬리지느러미까지 연결된 줄이 (종달이가) 성장한 만큼 이제 팽팽해져서 정상적인 몸동작을 할 수가 없는 상황이에요.] <br /> <br />'종달이' 구조가 시급한 이유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 1월 꼬리 뒤로 걸린 낚싯줄 제거에 성공했지만, 몸통 옆으로 이어진 낚싯줄 제거는 하지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달 초부터 다시 '종달이' 구조작업이 진행 중입니다. <br /> <br />이번에는 '종달이'를 포획해 낚싯줄을 제거하는 방법을 시도 중입니다. <br /> <br />[조약골 / 핫핑크돌핀스 대표 : (종달이를) 포획해서 종달이의 움직임을 제한한 뒤에 바다에 미리 세팅해 놓은 부력 매트 위에 종달이를 올려서 수의사가 직접 입과 몸통에 남아 있는 낚싯바늘과 줄을 제거하고…] <br /> <br />다만 구조작업이 길어지면서 방식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'종달이'가 체력이 남아 있을 때 구조해야 치료도 가능하고 건강하게 지낼 수 있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제주 연안에 사는 남방큰돌고래는 120여 마리. <br /> <br />멸종 위기종인 만큼 한 마리 한 마리를 지켜내는 것이 중요합니다. <br /> <br />'종달이'는 몸에 감긴 낚싯줄 때문에 지금도 바다에서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구조작업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돼 '종달이'가 자유롭게 바다를 누빌 수 있을지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고재형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촬영기자 : 윤지원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고재형 (jhko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40528182401242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