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서울시가 저출산 대책으로 정관과 난관 복원 시술비용 100만 원을 주기로 했는데요. <br> <br>다소 단편적인 저출산 대책 아니냐 논란도 있습니다. <br> <br>김지윤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[대한뉴스(1972년)] <br>"덮어놓고 낳다보면 거지꼴을 못 면한다. 가족계획 상담은 여러분의 가까운 보건소에서 무료로 합니다." <br> <br>우리나라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던 시기.<br><br>정부는 산아제한 정책으로 정·난관 시술을 장려하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반세기 만에 출산율이 최저치를 경신하며 인구감소 위기까지 맞고 있습니다. <br> <br>서울시는 저출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하반기 새로운 사업들을 시작합니다. <br> <br>먼저 정·난관 복원 시술을 위해 1인당 최대 100만 원씩 지원합니다. <br> <br>관련 예산을 추경으로 1억 원 배정했습니다. <br> <br>[김태균 / 서울시 기획조정실장] <br>"정·난관 복원시술비를 지원해서 아이를 낳고 싶은 부모들은 의료비 걱정 없이 쓸 수 있도록 도움을 드리고자 합니다." <br><br>건강보험이 적용되고 있지만 보통 정관 복원에는 40만 원, 난관은 80만 원 가량이 들어갑니다. <br><br>서울시는 또 35세 이상 임산부에 대해 최대 50만 원까지 의료비를 지원하고, 공공예식장을 조성해 맞춤형 결혼식 편의를 제공한다는 계획입니다.<br> <br>추경 예산안이 시의회를 통과하면 이르면 하반기부터 시행됩니다. <br> <br>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"정관 복원할 돈이 없어서 저출생 사회가 된 게 아니다"라며 황당한 정책이라는 비판 여론도 적지 않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지윤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: 형새봄<br /><br /><br />김지윤 기자 bond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