경남 창원시에 있는 유기견 보호소 세 곳이 하나로 통합·신설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신설 보호소 면적을 놓고 시와 동물보호단체가 의견 충돌을 빚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무슨 사정인지 임형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다음 달 개장을 앞둔 창원시 동물보호센터입니다. <br /> <br />진료실과 중정 등을 갖춘 곳으로, 현재 세 곳인 유기견 보호소를 하나로 합치기 위해 창원시가 예산 40억 원을 들여 지었습니다. <br /> <br />기존 각 보호소의 열악한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겁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지역 동물보호단체가 새로 지어진 센터는 유기견을 보호하기엔 공간이 부족하다고 주장하고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기존 보호소 세 곳 면적을 합친 것과 비교해 오히려 면적이 줄었다며, 유기견이 지낼 적정 공간이 확보되지 않을 거라는 얘기입니다. <br /> <br />때문에, 통합 이전에는 찬성하지만, 일괄적으로 이전할 게 아니라 유기견 분양 등으로 개체 수를 줄여 단계적으로 이전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. <br /> <br />[이정선 / 동물공감연대 부대표 : 개체 수를 줄인 다음에 보호되어있는 아이들(유기견)이 조금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두고 이전을 하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합니다.] <br /> <br />운영 주체인 창원시는 이 단체가 제시한 근거가 잘못됐다고 반박합니다. <br /> <br />기존 보호소에서 임의 확장한 공간까지 포함해 신축 센터와 비교하는 건 적절치 않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새로 지은 동물보호센터는 한 마리당 수용 면적이 1.47㎡로, 700여 마리를 보호하는 데는 문제가 없다고 설명합니다. <br /> <br />[강종선 / 창원시 농업기술센터 축산과장 : 임의 증축 공간들을 계속 유지할 수도 없고 그곳에서는 동물 복지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그보다 훨씬 넓어진 공간으로 왔습니다.] <br /> <br />창원시와 동물보호단체는 지난 1월부터 간담회와 토론회를 열어 의견을 나눴지만, 이견을 좁히지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창원시는 동물 단체를 설득하겠다는 입장이지만, 동물단체는 1인 시위를 이어나가며 문제 제기를 계속하겠다는 상황이어서 양측의 대치는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YTN 임형준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촬영기자 강태우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임형준 (chopinlhj06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40530052812835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