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어느날 통장에 1억 원이 들어와있다면 기분이 어떨까요. <br> <br>아이를 1명 낳으면 1억 원을 주겠다, 부영그룹이 약속했던 저출산 대책, 현실이 됐습니다. <br> <br>아이가 대한민국 국적이어야 한다는 조건으로, 직원 66명이 70억 원을 받았습니다. <br> <br>박지혜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통장으로 입금된 1억 원. <br> <br>부영그룹 직원이 받은 출산 장려금입니다. <br> <br>2021년생 자녀를 둔 직원에게도 소급 적용해 올해 1월까지 약 3년간 자녀를 낳은 66명의 직원에게 70억 원의 출산 장려금을 지급했습니다. <br> <br>[출산장려금 수령자(2021년 출산)] <br>"좋은 일이다 보니까, 물론 애사심도 커지고요. 아기 옷들도 한 번씩 사주고, 유모차나 이런 거도 바꿔주고 부모님들한테도 식사도 대접하고." <br> <br>정부에서 '부모통장' 이용시 비과세 혜택을 적용키로 해 최대 3천만 원에 이르는 세금 문제도 피하게 됐습니다. <br> <br>[이중근 / 부영그룹 회장(지난 2월)] <br>"20년 후에 국가의 안전을 보장하려면 지금부터 대안이 있어야 할거 아니에요. 우리 회사가 해결되면 국가 몇분의 몇이라도 (늘어나니까)." <br> <br>올해 출산 장려금을 받은 최연소 직원은 27세 여직원. <br><br>30대 44명, 40대 20명, 50대 직원도 있었습니다.<br> <br>출산 장려금을 받고 나서 바로 퇴사해도 반납 의무가 없습니다. <br> <br>슬하에 3남 1녀를 둔 이중근 회장이 "퇴사해도 대한민국 국민이다"라는 의견을 냈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> <br>부영그룹은 올해 출산 예정 직원을 30명 이상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지혜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: 차태윤<br /><br /><br />박지혜 기자 sophia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