UN 사무국 "北, 2년간 탄도미사일 100번 발사" <br />한미일, "北 위성 발사는 UN 결의 위반" 비판 <br />중국·러시아 "미국이 한반도 긴장 고조 원인" <br />北, 관련국 자격 참석…"주권 침해 단호히 거부"<br /><br /> <br />UN 안전보장이사회에서 최근 있었던 북한의 정찰위성 발사 시도가 논의됐지만 한미일과 북중러의 대립 구도만 재확인했습니다. <br /> <br />한미일 3국 외교차관은 미국에서 만나 북한의 도발에 대비한 확장억제 공약과 한반도 비핵화 목표를 거듭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김도원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북한의 위성 발사가 UN 안전보장이사회 의제로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UN 사무국은 북한이 최근 2년간 탄도미사일 기술을 이용한 발사를 100번 넘게 실시했다며, 안보리 결의 위반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우리나라는 북한 위성이 전혀 평화적 용도가 아니라고 비판했고, 미국은 중국과 러시아를 지목해 북한의 결의 위반을 감싼다고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[황준국 / 주 UN 대사 : 위성 발사는 값비싼 불꽃놀이입니다. 북한은 국민을 잘 먹이는 데 쓸 수 있었던 소중한 자원을 위성 발사에 낭비했습니다.] <br /> <br />[로버트 우드 / 주 UN 미국 차석 대사 : 북한의 행위에 대해 안보리가 한목소리를 내는 것을 중국과 러시아 두 이사국이 계속 가로막고 있어 우리의 안전이 저해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반면 중국과 러시아는 한미 동맹이 벌이는 대규모 연합 훈련이 한반도 긴장 고조의 원인이라고 주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[안나 에브스티그니바 / 주 UN 러시아 차석대사 : 한반도의 불안정은 대화가 아닌 대결을 계속해서 추구하는 미국 때문이라는 분명한 사실을 알아야 합니다.] <br /> <br />북한은 안보리 이사국이 아니지만 이해당사국 자격으로 참석했습니다. <br /> <br />[김성 / 주 UN 북한 대사 :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조건과 환경의 변화와 상관없이, 위성 발사를 포함해 계속 당당히 주권을 행사할 것입니다.] <br /> <br />이사국 대부분은 북한을 비판했지만, 상임이사국 중국과 러시아가 북한을 옹호하는 한 안보리 차원의 조치는 어려워 보입니다. <br /> <br />이번 회의도 결의나 성명 채택이 아닌, 이사국 간 입장 공유 차원에서 열렸습니다. <br /> <br />이와 별도로 한미일 3국 외교차관이 미국에서 만나 북한의 도발을 규탄하고, 조건 없이 대화에 응할 것을 촉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한미일은 3국 협력 사무국 설치를 추진하고, 지난해 열렸던 한미일 3국 정상회의를 올해도 개최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도원입니다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도원 (dohwon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40601141437750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