서울교통방송 TBS에 대한 서울시 예산 지원이 결국 중단됐습니다. <br /> <br />TBS는 '김어준의 뉴스공장'으로 한때 최고 시청률을 기록하기도 했지만, 편파 논란 속에 재정 지원이 끊기면서 결국 폐국을 눈앞에 두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김현아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TBS가 34년 역사의 종지부를 찍을 위기에 처했습니다. <br /> <br />TBS 재정의 70%를 차지하는 서울시 지원이 완전히 끊기면서, 한두 달 버티기도 힘든 처지입니다. <br /> <br />[김혜지 / TBS 아나운서 : 인건비는 물론 방송통신시설 운영을 위한 전기료조차 낼 수 없는 상황이다. 자본금 단돈 100만 원, 상업 광고조차 허용 안 되는 TBS에게 지원 조례 폐지는 문을 닫으라는 것과 다름없다.] <br /> <br />TBS 위기의 시발점은 '김어준의 뉴스공장'입니다. <br /> <br />2016년 시작한 이 프로그램은 정치 편향성 논란이 불거졌지만, 서울시 산하 기관이던 TBS가 2020년 독립 미디어 재단이 되면서, 서울시가 편성에 개입할 수 없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편파 방송 논란이 계속 커지면서, TBS 지원을 중단해야 한다는 여론이 일었는데 이후에도 김어준 씨는 20대 대통령 선거 기간 이재명 당시 후보 지지 발언을 하고도 뉴스공장을 진행해 선거법 위반으로 제재를 받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결국 TBS는 국민의힘 소속 시의원들이 시 지원 중단 조례를 통과시킨 뒤 뉴스공장을 폐지했지만, 상황을 돌이키진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TBS는 현재 민영화를 추진하고 있지만, 라디오 광고를 위해선 주파수 승인 조건을 바꿔야 하고, TV는 경쟁력이 낮은데 규모가 커 고용 승계가 부담스럽다는 평가가 나옵니다. <br /> <br />곧 서울시 출연기관 지위도 해제돼, 인수자가 향후 시 지원을 기대하기도 한층 어렵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 상황에 이르기까지 수년 동안 정치권이 공영방송의 편향성 여부 기준과 합당한 견제 장치는 논의하지 않은 채, 당리당략에 따라 방송사를 좌지우지하다가 결국 '폐국'이라는 극단적인 방법으로 처리했다는 비판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YTN 김현아입니다. <br /> <br />촬영기자;정희인 <br />영상편집;박정란 <br />그래픽;김진호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현아 (kimhaha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40601230653473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