인류 최초로 달 뒷면의 토양을 채취할 중국의 달 탐사선 창어 6호가 달 뒷면에 착륙하는 데 성공했습니다. <br /> <br />인류의 달 탐사 역사에 새로운 이정표를 썼는데, 미국과 중국의 우주 패권 경쟁도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유투권 기자! <br /> <br />오늘 오전 7시 반쯤, 중국 당국이 공식적으로 달 뒷면 착륙에 성공했다고 발표했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말씀하신 대로 미국의 나사와 같은 중국 국가항천국에서 공식적으로 발표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5월 3일 발사된 중국의 달 탐사선 창어 6호가 한 달 만인 오늘 달 뒷면에 착륙했습니다. <br /> <br />착륙한 지역은 남극에서 가까운 아폴로 분화구 근처입니다. <br /> <br />창어 6호는 앞으로 48시간 동안 최대 2미터까지 땅을 파 암석과 토양 2kg를 채취한 뒤 이달 25일 지구로 귀환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과거 미국과 옛 소련의 탐사선도 달의 토양을 채취해서 가져온 적이 있는데요, <br /> <br />지구에선 볼 수 없는 달 뒷면의 토양을 채취하는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. <br /> <br />중국은 지난 2019년 창어 4호를 인류 최초로 달 뒷면에 착륙시켰는데, 이번에 한 걸음 더 나가면서 새로운 이정표를 마련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달의 뒷면을 탐사하는 게 과학적으로 어떤 의미가 있는 건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달의 뒷면은 달이 형성된 초기의 비밀을 간직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약 40억 년 전부터 20억 년간 이어진 소행성 충돌이나 화산 폭발의 흔적이 그대로 남아 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또 남극 지역엔 얼음의 형태로 엄청난 양의 물이 있을 것이란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과학적 의미에 더해 기술적으로도 한 단계 도약하는 의미가 있습니다. <br /> <br />달 뒤편에 착륙한 우주선은 지구와 직접 교신할 수 없기 때문에 중간에 위성을 하나 배치해야 하는데, 우주공간에서 위성 간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데 성공한 겁니다. <br /> <br /> <br />미국도 달에 다시 인류를 보내겠다는 목표 아래 달 탐사를 서두르고 있어서 이른바 우주 패권을 둘러싼 경쟁이 가속화하는 것 같은데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창어 6호는 올해 들어서 달에 착륙한 3번째 탐사선입니다. <br /> <br />앞서 일본의 소형 탐사선과 미국의 민간 우주선이 달에 착륙했는데요, <br /> <br />중국은 2030년까지 달에 사람을 보내고 이어 본격적으로 달에 기지를 구축하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맞서 미국은 달을 선회하는 일종의 우주정거장을 먼... (중략)<br /><br />YTN 유투권 (r2kwon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40602123032671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