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대통령실이 북한에 강력한 대응을 경고하고 나선 건 민간인을 직접 겨냥한 도발 수위가 선을 넘고 있단 판단 때문입니다.<br> <br>북한이 어젯밤부터 살포한 오물 풍선은 700개가 넘습니다.<br> <br>나흘 전에 비해 3배 가까이 늘어난 겁니다.<br> <br>풍선의 궤적을 보면 이번엔 대담하게도 수도권 지역을 집중적으로 노린 정황도 엿보입니다.<br> <br>이어서 김용성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풍선 모양의 물체가 바람에 실려 날아가는 모습이 우리 군 감시 장비에 포착 됐습니다. <br> <br>어제 오후 8시 이후 서울을 비롯한 경기 인천 등 수도권에서 북한의 대남 오물 풍선이 잇달아 발견 됐습니다. <br> <br>포착 즉시 군과 경찰 소방 등이 출동해 거리 곳곳에 터진 풍선과 내용물을 수거했습니다. <br> <br>[하종화 / 수도방위사령부 56사단 소령] <br>"북한에서 날려 보낸 오물과 쓰레기로 확인했으며, 안전하게 회수했습니다." <br> <br>북한이 오물 풍선 테러를 감행한 것은 나흘 전에 이어 이번에 2번째입니다. <br> <br>우리 군에 포착된 풍선은 약 720개로, 1차 살포 때인 260여 개보다 3배 가까이 늘어난 겁니다.<br> <br>군 당국에 따르면 이번 북한의 살포 원점은 서부 전선에 밀집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> <br>대부분 풍선 낙하가 경기 북부에 이뤄졌고 서울 내에서도 발견된 풍선 개수가 1차 때보다 3배 이상 많은 92개로 파악됐습니다.<br> <br>살포 시점부터 대담하게 수도권을 집중적으로 노렸다는 분석이 나옵니다. <br> <br>[양욱 / 아산정책연구원 연구위원] <br>"오물풍선 공격이 매우 효율적이라고 판단하고, 북한이 원한다면 언제든 대한민국을 혼란스럽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려는…" <br> <br>풍선 속 내용물은 종이 조각과 담배꽁초, 비닐 등으로 지난 번과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이런 가운데 서해 지역에서는 북한의 위성항법장치(GPS) 전파 교란 공격이 닷새 째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전문가들은 북한이 비군사적 수단을 동원한 저강도 도발, 이른바 ‘회색지대’ 전술로 우리나라를 괴롭히고 있다고 우려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용성입니다.<br> <br>영상취재: 박찬기 이기상 <br>영상편집: 차태윤<br /><br /><br />김용성 기자 dragon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