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989년 6월 4일 발생한 톈안먼 사태 35주년을 앞두고 중국 현지에선 긴장감이 감돌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당국의 삼엄한 통제 속에 추모 활동은 해외로 퍼져나가는 양상입니다. <br /> <br />베이징 강정규 특파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택시 한 대가 톈안먼 광장 난간을 들이받고 멈춰 섰습니다. <br /> <br />주변엔 경찰복 차림으로 보이는 1명이 쓰러져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28일, 옛 트위터 X에 올라온 영상으로 중국 인터넷에선 찾아볼 수 없는 장면입니다. <br /> <br />[사고 목격자 : 가속해서 뚫고 나갔네! 저 사람 죽은 거 아닌가?] <br /> <br />1989년 톈안먼 사태 35주년을 앞두고 주목받았던 사고 현장에 직접 가봤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은 아무 일 없었다는 듯 치워져 있고, 삼엄한 경비 속에 긴장감이 감돌 뿐입니다. <br /> <br />희생자 유족단체인 '톈안먼 어머니회'의 외신 인터뷰가 금지됐다는 소식 정도만 전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1990년부터 홍콩에서 6·4 추모 집회를 주도하던 단체는 2021년 불법화되면서 구심점을 잃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28일엔 새로 시행된 '홍콩 보안법'에 따라 활동가 6명이 선동혐의로 체포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[크리스 탕 / 홍콩 보안국장 : 소셜 미디어에서 페이스북을 활용해 우리의 중앙 정부, 홍콩 정부와 사법부에 대한 증오를 퍼뜨린 혐의입니다.] <br /> <br />중화권에선 유일하게 타이완에서 촛불집회 명맥을 이어가는 정도입니다. <br /> <br />대신 추모 활동은 미국·일본을 비롯한 해외 민주국가로 퍼져나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집회 현장에선 친중 화교들과 마찰이 빚어지기도 합니다. <br /> <br />[미국 주재 친중 화교 : 타이완으로 꺼져라! 공산당 만세!] <br /> <br />영국 런던에선 6.4를 뜻하는 은어인 '5월 35일'이란 제목의 연극이 영어로 무대에 오릅니다. <br /> <br />[로웨나 허 / 톈안먼 사태 연구자 : 6월 4일은 금지된 단어이기 때문에 '5월 35일'이라고 말 수밖에 없는 것이죠.] <br /> <br />중국 당국의 통제가 역사적 비극을 오히려 세계에 알리는 역효과를 낳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베이징에서 YTN 강정규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강정규 (live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40603205250255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