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문재인 정부는 부동산, 소득, 고용 등 통계를 모두 조작했다는 논란으로 수사 중인데요. <br> <br>이번엔 국가채무비율, 그러니까 나라빚 전망치를 축소 왜곡한 것으로 감사원 조사결과 드러났습니다. <br> <br>당시 홍남기 기재부 장관이 국가채무비율을 두 자릿수로 낮추라고 지시했는데, 청와대도 알고 있었다는 겁니다. <br> <br>우현기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4년 전, 문재인 정부는 미래 나라빚을 추산하는 국가채무비율 전망치를 발표합니다. <br> <br>[나주범 / 당시 기획재정부 재정혁신국장(2020년 9월)] <br>"시나리오별로 2060년 국가채무비율은 64.5%에서 81.1% 범위로 전망됩니다."<br> <br>감사원 조사 결과 기재부는 당초 2060년 국가채무비율을 153%로 전망했는데 81%로 줄여 발표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<br> <br>감사원에 따르면, 홍남기 전 기재부 장관이 지난 2020년 7월 청와대 정례보고에서 "채무비율이 100%를 넘으면 외부 지적 우려가 있다"고 했고, 이후 청와대가 "불필요한 논란이 커지지 않게 신경쓰라"고 전달하며 왜곡이 시작됩니다.<br> <br>2020년 당시 정부가 4차례 추경으로 돈을 풀던 상황. <br> <br>감사원은 나라 빚을 소홀히한다는 비판을 피하려는 고의적인 축소로 의심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홍 전 장관은 기재부 실무진의 강력한 반대에도 채무비율을 두 자릿수로 낮추라며, 계산 방식 수정을 지시합니다. <br> <br>한달 뒤 국정감사에서도 예상보다 채무비율이 낮다는 의혹이 제기됐습니다. <br> <br>[추경호 / 당시 국민의힘 의원](2020년 10월) <br>"기재부는 희한하게 아주 마술을 부립니다. 2045년에 99점몇 % 가다가 그다음에 딱 꺾여서 100은 절대 안 가요, 그다음에 밑으로 내려와. 이게 참 희한하지 않아요?" <br> <br>감사원은 홍 전 장관의 비위가 중대하지만 이미 퇴직해 인사자료로 통보했다고 밝혔습니다.<br> <br>한편 홍 전 장관은 연락이 닿지 않았고, 감사원 조사에서는 "채무비율을 낮추라고는 했지만, 두자릿수로 만들라고 하지는 않았다"고 부인했습니다.<br> <br>채널A 뉴스 우현기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: 박형기<br /><br /><br />우현기 기자 whk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