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정부가 전공의 사직서 수리 금지 명령, 철회를 발표한 직후 처음으로, 사직서를 수리한 병원이 나왔습니다. <br> <br>이른바, 빅5 병원들은 아직까지 사직 처리에 신중한 모습입니다.<br><br>그 이유를 홍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><br>[기자]<br>정부가 어제 2백여 개 전공의 수련 병원에 보낸 공문입니다. <br> <br>병원에 내렸던 사직서 수리 금지, 진료 유지 명령 등을 모두 철회한다는 내용입니다. <br> <br>이 공문을 받은 대구의료원은 어제 미복귀 전공의 3명의 의사를 물은 뒤 사직서를 곧바로 수리했습니다. <br> <br>[대구의료원 관계자] <br>"전공의들한테 계속 복귀하라고 설득은 했지만 안 오시는 상황이다 보니까. 사직서를 수리하고 (병원) 정상화하는 방향으로 이제 또 다른 대책을…"<br> <br>지난 2월 대구의료원 가정의학과 전공의 4명은 의대 증원에 반발해 병원을 떠났습니다. <br> <br>이중 최종적으로 복귀하지 않겠다고 밝힌 전공의 3명의 사직을 받아들이고, 추가 모집 등 병원 정상화를 위한 대책을 마련하겠다는 겁니다. <br> <br>서울 상급종합병원 등은 전공의 사직서 수리에 대해 아직 신중한 입장입니다. <br> <br>한 대형 병원 관계자는 "당장 사직서 수리 계획은 없고, 복귀나 수리 절차에 대해 병원 차원에서 검토 중"이라고 말했습니다.<br> <br>또 다른 대형병원 관계자는 "전공의들의 사직서를 바로 수리하기보단 최대한 복귀를 먼저 설득해 볼 것"이라며 "대략 30% 정도 복귀를 예상하고 있다"고 설명했습니다.<br> <br>서울 상급종합병원들은 전공의들에게 개별적으로 의사를 물은 뒤 사직서 수리 여부를 결정하는 데 한 달가량 걸릴 것으로 봤습니다. <br> <br>반면, 의대생들과 전공의 등은 정부를 상대로 민사소송을 준비 중입니다. <br> <br>이들을 대리해온 이병철 변호사는 "의료 농단으로 손해를 입었다"며 "정부 등을 상대로 1천억 원대 손해배상을 청구하겠다"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홍란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김건영 <br>영상편집: 구혜정<br /><br /><br />홍란 기자 hr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