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죽음의 강'으로 불리던 태화강은 20년이 지난 지금 1급수의 맑은 물에 다양한 동물이 기대고 한 해 수백만 명이 방문하는 명소가 됐죠. <br /> <br />태화강이 '생태 도시 울산'의 상징이 되기까진, 인간과 자연의 공존을 위한 시민과 지방자치단체, 기업들의 노력이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JCN 울산중앙방송 전우수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 <br />평일 오전 한가로운 태화강변입니다. <br /> <br />향긋한 강바람을 맞으며 산책길에 나선 사람들. <br /> <br />자전거 라이더들도 시원하게 강변을 질주합니다. <br /> <br />[전봉선 / 울산 남구 무거동 : 이렇게 아름다운 태화강을 만들어 주셔서 너무너무 감사합니다.] <br /> <br />[민희재 / 경남 밀양시 : 태화강 국가정원에 오면 마음이 힐링이 돼서 울산의 자랑입니다. 그래서 자주 오게 됩니다.] <br /> <br />오늘과 같은 태화강의 풍경은 하루아침에 이뤄지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이를 증명하듯 태화강 국가정원, 십리대숲 초입에는 에코폴리스 울산 선언 기념비가 있습니다. <br /> <br />울산시는 2004년 6월 환경오염 도시라는 이미지를 탈피하고 생태도시 원년임을 선포하는 에코폴리스 울산 기념비를 이곳에 세웠습니다. <br /> <br />올해로 울산시가 에코폴리스 울산을 선언한 지 20년이 됩니다. <br /> <br />대규모 공단 조성과 급격한 도시화 과정 속에 태화강은 물고기가 죽어 떠오르고, 물에서는 늘 악취가 진동하는 5급수 이하의 죽음의 강으로 변해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이를 보다 못한 시민과 지자체 기업이 하나가 됐습니다. <br /> <br />태화강 살리기 운동에 함께했고, 범시민적인 생태 회복 운동을 펼치자며 '에코폴리스 울산'을 선언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 결과 5급수 이하였던 수질은 1급수로 회복됐고, 강에는 연어가, 십리대숲엔 여름 백로와 겨울 떼까마귀가 계절을 바꿔가며 찾기 시작했습니다. <br /> <br />[최정자 / 울산시 환경정책과장] "에코폴리스 울산 선언을 통해 공해 도시에서 생태 도시로 바꿀 것을 다짐했고, 결국 이뤄냈습니다. 앞으로도, 울산이 환경과 산업이 상생하는 지속 가능한 녹색 환경 도시가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.] <br /> <br />태화강은 해를 거듭하며 자랑스런 경력들이 붙었습니다. <br /> <br />2003년에는 야생생물 보호구역에, 2008년엔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후 아름다운 하천, 한국관광 100선 등에도 선정됐고, 2019년 7월에는 국내 두 번째 국가정원인 태화강 국가정원이라는 이름을 얻었습니다. <br /> <br />2021년에는 아시아 대양주 철새 이동 경로 네트... (중략)<br /><br />YTN 전우수 jcn (ksh1329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40609043351491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