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이렇게 우리 군이 대북 확성기를 전격적으로 재개하자 북한의 움직임도 빨라졌습니다. <br> <br>북한도 맞불 대남 방송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북한의 추가 도발 가능성도 제기됩니다. <br> <br>국방부에 나가있는 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<br> <br>권갑구 기자, <br> <br>[질문1] 북측 움직임, 감지된 게 있습니까? <br><br>[기자]<br>네, 그렇습니다. <br> <br>우리 대북 확성기 방송 재개 소식이 전해지자 북한도 대남 방송을 재개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이른바 맞불 전략인데요, <br> <br>북한의 대남 확성기는 2020년 6월 이후 철거 됐습니다. <br> <br>만약 이번에 재개되면 4년 만입니다.<br> <br>대남 확성기를 통해 방송되는 내용은 주로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포함한 선대 지도자들 찬양이나 사회주의 체제 선전이지만 과거 우리 대통령 험담이 나오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북한 확성기는 출력이나 가청 거리 등 성능 면에서 우리 확성기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열악한데요, <br> <br>정부 관계자는 북한 군인과 주민들이 우리 대북 확성기를 듣지 못하도록 방해하는 목적이 더 크다며 우리 대북 방송을 이른바 '소음화' 시키려는 전략을 구사할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. <br> <br> [질문2] 군이 북한의 추가 도발 가능성에는 어떻게 대응하고 있나요?<br><br>[기자]<br>네, 신원식 국방부 장관은 주말인 오늘 전군에 정상근무를 지시했습니다. <br> <br>또 주요지휘관 회의를 소집해 북한의 직접 도발 가능성에 철저히 대비할 것을 지시했습니다. <br> <br>지난 2차 살포 당시 육군 1사단장이 부하들과 부부 동반 음주 회식을 가진 데에 따른 조치라는 해석도 나옵니다. <br> <br>북한이 대북 확성기를 직접 공격했던 전례가 있는 만큼 전방 부대에는 대비 태세를 격상해 긴장을 늦추지 않고 있는 것으로 전해집니다. <br> <br>지금까지 국방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김석현 <br>영상편집 : 차태윤<br /><br /><br />권갑구 기자 nine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