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이민·인플레·환경'에 염증 느낀 유권자들…유럽서 극우 돌풍 불렀다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유럽의회 선거에선 예상대로 극우 정당들이 약진하며 의석수를 늘렸습니다.<br /><br />특히 프랑스에서는 집권 여당이 극우 야당에 참패하기도 했는데요.<br /><br />이번 유럽의회 선거에서 나타난 극우 돌풍의 배경은 무엇인지, 강재은 기자가 짚어봤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펜데믹 이후 급격하게 늘어난 이민자.<br /><br />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물가 상승, 정부의 재정 긴축으로 팍팍해진 살림, 친환경 정책에 대한 반감.<br /><br />유권자들이 말하는 극우 세력 지지의 이유입니다.<br /><br /> "(농사 지을 때) 친환경 비료를 써야 하고, 휴한지가 있어야 하며, 2035년에는 도로 위에 전기차만 있어야 합니다. 이런 정책들은 돈이 너무 많이 들기 때문에 사람들이 싫어합니다."<br /><br />유럽의 친환경 정책인 "그린 딜"을 반대하는 농민들이 선거 전 대규모 트랙터 시위를 벌이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극우 정당이 크게 우세했던 프랑스와 독일에선 이번 선거 결과에 대한 우려도 나옵니다.<br /><br />두 국가에서 많은 표를 얻은 강경 우파 정당들은 이민자 유입 제한을 주장하고 국가 우선주의를 추구합니다.<br /><br /> "이번 선거는 우리나라에 역사적인 재앙입니다. 사람들이 '공존'의 가치를 되새기고, 사회 갈등을 부추기는 극우, 극좌 정당들이 우리를 막다른 골목으로 이끌고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으면 좋겠어요."<br /><br />우크라이나 전쟁을 매개로 유럽과 반목하는 러시아는 유럽에 부는 극우 바람을 반가워하는 분위기입니다.<br /><br />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국가안보회의 부의장은 사회관계망서비스에 이번 선거에서 패배한 프랑스의 마크롱 대통령과 독일의 숄츠 총리를 겨냥하며 "역사의 잿더미 속으로 사라질 때"라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영국 일간지 텔레그래프는 '빈대가 어떻게 마크롱을 무너뜨렸나'란 기사를 통해 이번 선거 결과에 러시아발 가짜 뉴스가 영향을 끼쳤을 수 있다고 보도했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프랑스에서 빈대 출현 소동이 반이민 정서를 자극하는 기폭제가 됐는데, 이민자들이 빈대를 퍼뜨렸다고 러시아가 온라인상에서 선동했다는 겁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강재은입니다.<br /><br />#유럽의회 #선거 #유럽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