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전북에도 활성단층 존재…가까운 곳은 '함열단층'

2024-06-12 0 Dailymotion

전북에도 활성단층 존재…가까운 곳은 '함열단층'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지진이 일어나면 땅속 뇌관인 '활성단층'의 존재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<br /><br />과거 전북도가 도내 지질 환경을 살펴봤더니, 몇몇 곳에서 실제 움직이는 활성단층이 있는 걸로 조사됐습니다.<br /><br />김동혁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이번 지진은 단층이 위, 아래가 아닌 수평으로 이동하는 주향이동단층에서 발생했습니다.<br /><br />지각의 한쪽 면은 북동이나 남동으로, 다른 쪽은 남서나 북서로 이동하며 흔들림을 일으킨 겁니다.<br /><br />땅속 어느 단층이 찢기거나 움직여 지진을 유발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<br /><br />단층의 규모를 알아야 발생 가능한 최대 지진을 유추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 "지하에 있는 단층의 크기를 현재로서는 알 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이번 지진이 해당 단층에서 발생 가능한 최대 지진일지, 더 큰 단층면이 존재해서 이번 지진 이후에 더 큰 지진으로 연결될지는 현재로서는 판단하기 곤란한 상황입니다"<br /><br />지난 2017년에 전북도가 발표한 지진 환경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, 전북 지역에 크고 작은 단층들이 존재합니다.<br /><br />부안 주변에는 충남 부여에서 변산반도까지 연결된 함열단층이 있습니다.<br /><br />이 외에 전주와 정읍, 광주 단층대도 남북으로 뻗어 있습니다.<br /><br />이중 부안 인근인 함열단층을 포함한 몇 곳은 지진이 일어날 수 있는 활성 단층인 걸로 조사됐습니다.<br /><br />다만, 이들 활성단층에서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어느 정도인지는 파악되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기상청은 여진 분포를 면밀히 조사해 부안 강진의 원인을 파악하겠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동혁입니다. (dhkim1004@yna.co.kr)<br /><br />[영상취재기자 송철홍·정경환·이승안·문영식]<br /><br />#전북 #부안 #지진 #단층 #강진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