대통령실 고위 관계자, 카자흐스탄 현지서 언급 <br />"중앙아시아에서 북핵·북러 군사협력문제 논의" <br />"푸틴, 며칠 내 방북…비슷한 시기 한중 대화"<br /><br /> <br />대통령실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며칠 안에 북한을 방문할 예정이라고 확인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 측은 북한의 추가 도발을 경계하고 있고, 북러 관계를 주의 깊게 지켜보면서 우려하고 있다는 입장을 내놨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신윤정 기자! <br /> <br />푸틴 대통령이 며칠 내로 북한을 방문한다는 대통령실의 언급, 어떻게 나온 겁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윤석열 대통령의 중앙아시아 3개국 국빈 방문 기간 중 현지에서 고위 관계자가 언급한 내용입니다. <br /> <br />이 관계자는 현지 시각 12일 밤, 우리 시간으로 오늘 새벽 카자흐스탄 수도 아스타나에 마련된 프레스센터에서 기자들과 만나 푸틴의 방북 사실을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카자흐스탄과의 원전 협력과 관련한 질문에 중앙아시아에 와서 여전히 북한의 핵 문제를 얘기하고 있고, 우크라이나 전쟁을 논의하고 있고, 러시아와 북한의 불법적인 군사 협력 문제를 논의해 나가고 있다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 며칠 안으로 다가온 푸틴 대통령의 북한 방문과 비슷한 시기에 전개되는 한국과 중국의 외교 안보 전략대화가 있다고 말했는데요, <br /> <br />이를 전부 고려하면서 철저하게 주변 주요 우방국들, 그리고 우리의 전략적 파트너들이 북한 문제에 대해 대한민국과 궤를 같이할 수 있도록 순방을 이어가도록 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대통령실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방북 사실을 확인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미국 측에서는 북한의 도발을 경계하며 북러 관계를 긴밀히 주시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그렇습니다. <br /> <br />커트 캠벨 미국 국무부 부장관은 워싱턴DC에서 개최된 좌담회에서 푸틴 대통령의 방북과 관련한 질문에 "보도를 봤지만, 코멘트하지 않겠다"며 구체적인 방북 확인은 자제했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북한의 대러시아 무기 제공을 거론한 뒤 러시아가 그 대가로 북한에 무엇을 줄 것인지 우려하고 있고 주의 깊게 보고 있다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 북러 관계 전체 범위에 대해서 지켜보며 우려하고 있다고 말하는 것이 맞을 것이라고 덧붙였는데요, <br /> <br />북한의 대러시아 관계 강화에 대해서는 중국을 불안하게 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캠벨 부장관은 북한이 오물 풍선 이상의 심각한 도발에 나설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신윤정 (yjshine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40613095529612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