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대북 확성기 배치를 두고도 유엔사는 긴밀한 의사소통을 강조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주한미군사령관이기도 한 유엔사 사령관이 대북확성기 재개에 우려를 표했다고 어제 전해드린 바 있죠. <br> <br>유엔사는 확성기 재개가 정전협정 위반인지 여부를 조사 중인 것으로 전해집니다. <br> <br>이솔기자입니다 .<br><br>[기자]<br>주한유엔군사령부가 북한의 대남 풍선 살포와 함께 우리 군의 대북 확성기 방송 재개도 정전 협정을 위반했는지 여부를 조사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앞서 국방부는 "유엔사 측으로부터 조사 통보를 받지 않았다"고 밝힌 바 있는데 현재 조사가 진행 중임을 재확인한 겁니다. <br> <br>군 관계자는 "우리 측을 제외한 채 북한만 조사할 수 없다는 것이 유엔사의 입장인 것으로 알고 있다" 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유엔사는 2016년에도 우리 군의 대북 확성기 사용이 정전 협정에 위배되지 않는지 살펴봤었는데, 당시 우리 군은 유엔사의 승인을 받은 뒤 확성기를 설치한 바 있습니다. <br> <br>유엔사는 또 "대북확성기 사용이 자위권 차원의 대응조치"라는 우리 군의 설명에, 이례적으로 입장을 냈습니다. <br> <br>"우려 사항이나 운영 결정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긴밀한 조정과 의사소통이 여전히 중요하다"고 밝힌 겁니다.<br> <br>이어 어제 채널A가 보도한 신원식 국방장관과 폴 러캐머라 유엔군사령관의 12일 비공개 회담을 인정하며, "미리 예정돼 있었고 <br>김명수 합참의장과도 면담했다"고 덧붙였습니다. <br><br>그러면서도 "우리는 동맹국의 주권과 합법적인 행동을 존중한다"고 밝혔습니다. <br><br>대북 확성기 사용이 "대한민국의 자위권 차원의 대응 조치"라는 우리 군의 입장에 대한 반박으로 긴밀한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으로 풀이됩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솔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: 이희정<br /><br /><br />이솔 기자 2sol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