여름 특수를 누리는 서울 4대 특급호텔 빙수 평균가가 11만 원을 넘어서며 무섭게 오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고물가에 팍팍한 서민들은 반대로 지하철역 천 원 빵 매장을 찾아 끼니를 해결하는 등 극명한 대비를 이루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권민석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빨라진 무더위에, 호텔에서 빙수를 즐기는 이른바 '빙캉스' 시즌도 앞당겨졌습니다. <br /> <br />시그니엘 서울 79층, 탁 트인 하늘을 떠먹는 듯한 이 빙수 한 그릇 가격은 13만 원. <br /> <br />지난해보다 3천 원 오른 국내 최고가로, 식은땀과 손부채를 부르는 수준입니다. <br /> <br />포시즌스호텔에서 파는 애플 망고빙수도 12만6천 원으로 뒤를 바짝 쫓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제주 망고빙수 원조인 신라호텔도 지난해보다 4천 원 올라 10만 원 대열에 합류했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 4대 특급호텔 가운데선 웨스틴조선 딱 한 곳만 10만 원 아래에 있습니다. <br /> <br />주재료인 제주 망고가 워낙 비싸 빙수값이 천정부지란 게 호텔 측 설명입니다. <br /> <br />특별한 날, 특별한 추억을 사겠다는 선택적 소비를 비판하기 어렵단 반론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다만, 20만 원을 찍기 전에 먹어야겠다는 자조가 나올 만큼 고공 행진이라, <br /> <br />나를 위한 사치로 각광 받는 '스몰 럭셔리'도 이제 더는 작은 지출로 여기기 어려워졌습니다. <br /> <br />월급 빼고 다 오른다는 고물가 시대, 땅 밑으로 내려가면 정반대 모습이 펼쳐집니다. <br /> <br />지하철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천 원 빵 매장엔 지갑 홀쭉한 시민들 관심과 발길이 급증했습니다. <br /> <br />만 원짜리 한 장으론 버거운 점심 걱정에, 매일 집밥 도시락을 싼다는 SNS 인증도 봇물입니다. <br /> <br />메뉴판 가격을 안 보고 시키는 사람이 성공한 자란 씁쓸한 시대상 속에 소비 패턴의 양극화도 하늘과 땅 차이로 벌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YTN 권민석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 : 변지영 <br />디자인 : 오재영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권민석 (minseok20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40616052503932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