빛바랜 우크라 평화회의…브릭스 진영 공동성명 불참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우크라이나 종전 방안을 협의하기 위한 우크라이나 평화 정상회의가 폐막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10여개 나라가 공동성명에 서명하지 않으면서 우크라이나 전쟁 해결을 위한 국제적 규모의 첫 회의라는 의미가 퇴색했습니다.<br /><br />한미희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공동 성명은 모든 국가의 영토 보전과 정치적 독립을 위해 무력 사용을 자제한다는 원칙을 재확인했습니다.<br /><br />우크라이나 영토에서 전쟁을 벌인 러시아의 행위가 국제법을 어긴 것이라는 지적을 담은 겁니다.<br /><br /> "모든 참가자가 우크라이나의 영토 보전을 지지한 것은 중요합니다. 영토 보전 없이는 지속적인 평화도 없기 때문입니다."<br /><br />공동 성명에는 우크라이나산 농산물의 자유로운 수출을 보장하고 러시아 점령지에 있는 원전의 통제권을 우크라이나에 돌려주며, 포로 교환과 아동을 포함한 민간인 억류자 송환을 촉구하는 내용도 담겼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3년째 이어지는 전쟁을 멈추게 하고 평화 협상으로 이끌기 위한 발판으로 보기엔 역부족이라는 평가입니다.<br /><br />이런 성명마저 참가국 전체의 동의를 얻지도 못했습니다.<br /><br />브라질과 인도 등 러시아와 중국이 주도하는 신흥 경제국 연합체, 브릭스 소속 국가들이 서명하지 않은 겁니다.<br /><br />브릭스 가입이 승인된 사우디아라비아와 가입을 추진 중이거나 관심을 표명한 나라들도 서명하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젤렌스키 대통령은 중국이 갈등 해결에 나서주길 촉구했습니다.<br /><br /> "중국은 강력한 국가이자 러시아에 정치적 경제적으로 실질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강력한 경제 대국입니다. 중국이 우리를 도울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."<br /><br />이번 회의를 공동 주최한 스위스는 우크라이나와 강대국들의 의지가 있다면 오는 11월 미국 대선 전에도 후속 회의가 열릴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한미희입니다.<br /><br />#우크라이나_평화_정상회의 #젤렌스키 #중국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