중국, 북러 정상회담에 거리두기?…밀착에 경계심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중국은 북러 정상회담에 대해 양국 간 일이라며 거리두기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북중러 구도에 엮이는 데 대해 신경을 쓰는 모양새인데요.<br /><br />중국 외교부에서는 공식 입장이 나왔습니까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중국은 북한과 러시아의 정상회담과 관련해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잠시 전 외교부에서 공식 브리핑이 진행됐지만 북한과 러시아 간 왕래라며, 더 이상 첨언하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앞서 중국은 북러 양자 교류에 대해서는 전통적 우호 관계를 공고히 발전시키는 것에 대해 환영한다고 말한 바 있습니다.<br /><br />북러 관계 진전을 환영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속마음은 그렇지 않습니다.<br /><br />중국 민영매체인 차이신은 "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방북으로 북러 간 군사관계가 과열되고 있다"며 "유사시 자동 군사개입 수준의 긴밀한 군사협력 관계를 구축하는 계기가 될까 우려스럽다"고 보도했는데요.<br /><br />관영매체가 아닌 민간매체에서 이런 보도를 내는 것은 이례적입니다.<br /><br />일각에서는 중국 당국이 민간 매체를 통해 북한과 러시아에 경계심을 표시한 것이라고 분석했는데요.<br /><br />중국은 북한과 러시아의 지나친 밀착이 자칫 신냉전을 초래할 수 있다는 데 우려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신냉전이란 미국을 중심으로 한 한국과 일본, 서방 등 동맹국과의 대결을 의미합니다.<br /><br />중국은 1961년 조중 우호조약을 통해 북한과 유사시 자동 군사개입 조약을 맺은 상태죠.<br /><br />북중 간 구체적인 군사교류는 없었지만, 북러 양국이 새 조약을 맺게 되면, 중국도 자연스럽게 엮이는 구조가 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렇게 북중러 구도가 뚜렷해지면 아무래도 서방의 공격에도 더 노출될 수 있겠죠.<br /><br />이런 가운데 서울에서는 외교·국방 고위당국자들이 참여하는 '2+2' 대화가 열렸습니다.<br /><br />중국은 이번 대화가 다른 국가와 특별한 관련이 없다고 했지만 북한과 러시아가 밀착하는 것에 대해서는 경계하는 눈치입니다.<br /><br />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방북에 맞춰 '2+2' 회의가 열리는 것 자체가 그에 대한 방증이란 얘기인데요.<br /><br />중국은 러시아에 무기를 제공하며 우크라이나 전쟁에 개입하고 있는 북한과 거리두기를 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미국과의 전략경쟁이 심화될수록 유럽과의 관계가 중요하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중국은 미국과 핵심이익에는 충돌하고 있지만 양자 관계에 있어서는 안정적 관리에 방점을 찍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미국과의 관계에 있어서도 북중러로 엮이는 구도가 좋지 않은 건데요.<br /><br />특히 이번 북러 정상회담에서 북한에 첨단 미사일 기술을 전달하는 것도 중국 입장에서는 신경 쓰이는 대목입니다.<br /><br />한반도의 안정적 관리가 중요한데, 북한이 미사일 기술을 전달받고 더 과감한 도발에 나설 수 있다고 보는 겁니다.<br /><br />결국 중국은 북러 양측에 일정한 메시지를 전달함으로써 북중 간 거래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넘어가지 않도록 관리하는 데 주안점을 둘 것이란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베이징에서 전해드렸습니다. (baesj@yna.co.kr)<br /><br />#북러정상회담 #中당국 #신냉전 #2+2대화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