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대형병원 상황도 알아보겠습니다. <br> <br>아무래도 중증환자들이 많다보니, 더 걱정인데요. <br> <br>빅5 병원을 넘어 그리고 암환자의 보루 국립암센터까지 집단 휴진이 임박했습니다. <br> <br>김민환 기자, 암환자들 애가 타겠는데요? <br><br>[기자]<br>네, 보시다시피 외형적으로는 정상운영 중인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실제로 조금 전까지만 해도 환자들이 붐볐는데요. <br> <br>하지만 내부에선 집단 휴진을 논의 중입니다. <br><br>국립암센터 비상대책위원회는 지난 15일부터 사흘간 전체 전문의 148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투표 결과를 공개했는데요. <br> <br>응답자 110명 중 95.5%가 정부의 의대 증원 방침에 반대한다고 답했습니다. <br> <br>이중 절반에 가까운 49.5%는 전면 휴진에 동의했다고 발표했습니다. <br><br>앞서 정부는 "암 환자의 진료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국립암센터 병상을 최대한 가동하겠다"고 발표했지만, 그마저도 위태로운 상황입니다. <br><br>이번엔 휴진 찬성률이 0.5% 차로 과반에 못 미쳤지만, 암센터 측은 암 환자 진료의 한계치에 달했다고 말합니다. <br> <br>[서홍관 / 국립암센터 원장] <br>"(의료 공백 사태가) 100일이 넘어가다 보니까 의사들도 너무나 정말 정신적으로 육체적으로 지쳤어요. 한계에 와 있습니다." <br> <br>문제는 중증·암 환자를 중점 치료할 주요 상급병원들의 무기한 휴진이 확산되고 있는 겁니다. <br> <br>서울대·세브란스· 서울아산병원에 이어 다른 빅5 병원들까지 무기한 휴진을 논의하며 의료 시스템 정상 운영에 부담이 커지고 있습니다. <br><br>지금까지 국립암센터에서 채널A 뉴스 김민환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장명석 <br>영상편집 : 배시열<br /><br /><br />김민환 기자 kmh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