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조소 동맹조약, 63년 만에 사실상 부활

2024-06-20 481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우리 정부가 강수를 둔 건 러북 정상간의 합의가 그만큼 위협적이기 때문입니다. <br><br>한반도 유사시 러시아의 군사 개입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1961년 조소 동맹이 부활했다는 평가가 나옵니다. <br> <br>박수유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><br>[기자]<br>북한이 오늘 러시아와 북한 간의 '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'조약 상세 내용을 공개했습니다. <br> <br>핵심은 조약 4조로, 두 나라 가운데 한 쪽이 무력 침공을 받아 전쟁 상태가 되면 다른 한 쪽이 '지체 없이' 모든 수단으로 군사 원조를 제공한다"고 명시 돼 있습니다.<br> <br>1961년 구 소련과 북한이 맺은 '조·중 우호협력 및 상호원조조약'에 포함된 내용과 거의 비슷합니다.<br> <br>[블라디미르 푸틴 / 러시아 대통령 (어제)] <br>"그 어떤 나라의 침략이 있는 경우에 서로 협조하자는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." <br> <br>특히 양측은 유엔헌장 51조와 양국 국내법에 준한다는 등 유엔까지 거론했는데, 이는 조약이 국제법에 부합하고, 정당성을 가진다는 것을 강조한 겁니다.<br> <br>조약 효력 기간도 '무기한'으로 정해 1961년 조약의 '10년 효력'을 훨씬 뛰어 넘습니다. <br> <br>방위능력 강화를 위한 '공동조치제도'도 새롭게 명시 됐는데, 우크라이나 전쟁을 치르는 러시아가 북한으로부터 무기를 받고, 답례로 러시아의 최첨단 기술을 전수 받는 등 군사 협력 강화 근거를 마련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. <br> <br>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이번 조약을 근거로 러북이 동맹이라고 밝힌 만큼 한반도 유사시 러시아의 개입 명목을 마련한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옵니다. <br> <br>[이석배 / 전 주러시아한국대사] <br>"조약의 강도는 러시아와 미국 간 대결 구도의 심각성, 첨예함이 우리가 상상하는 것을 훨씬 뛰어넘는다는 것을 방증하는 게 아닌가 싶어요." <br> <br>푸틴 대통령은 6·25전쟁 당시 소련 군의 참전을 처음으로 공식 인정하며 양국 간 뿌리 깊은 동맹관계를 강조하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수유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: 차태윤<br /><br /><br />박수유 기자 aporia@ichannela.com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