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우리 정부도 미국 일본과 함께 북러 밀착은 "중대한 위협"이라며 공동 대응에 나섰습니다. <br><br>러시아 대사를 초치해 새 조약에 항의했는데요. <br> <br>우리 정부가 우크라이나에 제공할 수 있는 무기에도 관심이 쏠립니다. <br><br>권갑구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우리 외교부가 게오르기 지노비예프 주한 러시아 대사를 초치하고 러북 회담 결과에 대해 항의했습니다. <br><br>[게오르기 지노비예프 / 주한 러시아 대사] <br>(한국의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 재검토를 어떻게 생각하시나요?) 안녕하십니까, 기자 여러분. (러시아가 한국 대신 북한과의 관계를 강화하기로 결정한 건가요?) …. <br> <br>약 30분간 진행된 면담에서 김홍균 1차관은 "한러 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다"고 경고했고 지노비예프 대사는 "자국에 대한 협박 시도는 용납될 수 없다"고 답했습니다.<br> <br>우리 정부가 실제 우크라이나에 살상 무기를 지원할지 여부에 대해 정부 관계자는 채널A에 "러시아 하기 나름"이라고 밝혔습니다.<br> <br>러시아의 반응에 따라 압박 수위를 조절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됩니다. <br> <br>만약 러시아가 레드라인을 넘을 경우 우크라이나에 지원 가능한 무기로는 우선적으로 대공포탄 155mm 포탄이 꼽힙니다.<br><br>주한 우크라이나 대사도 앞서 채널A와 인터뷰에서 가장 지원이 필요한 무기로 꼽았습니다. <br> <br>[드미트로 포노마렌코 / 주한 우크라이나 대사(지난 2월)] <br>"155mm 포탄 같은 무기가 필요합니다. 요격미사일체계도 필요합니다." <br> <br>이 밖에 요격미사일 천궁과 한러 관계가 최악으로 치달을 경우 살상 무기인 K-9자주포와 천무 가능성도 선택 카드로 조심스레 제기됩니다. <br> <br>전문가들은 러시아 본토 공격 무기는 미국과 나토에서 공급하는 만큼 우리나라는 포탄 등 소모품 등을 공급할 가능성이 있다고 봤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권갑구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김기범 <br>영상편집 : 차태윤<br /><br /><br />권갑구 기자 nine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