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4년 만의 방북 일정을 소화한 러시아 푸틴 대통령은 김정은 위원장에게 최고급 리무진을 선물하고 번갈아 운전까지 하며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를 보란 듯이 비웃었습니다. <br /> <br />정상회담 결과로 맺어진 새로운 조약에도 대북 제재를 노골적으로 무시하는 듯한 조항들이 곳곳에 들어갔습니다. <br /> <br />김대겸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19일, 정상회담을 마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러시아 푸틴 대통령이 검은색 리무진 차량에 탑승합니다. <br /> <br />푸틴 대통령이 직접 운전대를 잡고 뒤이어 김정은 위원장도 조수석에 올라탑니다. <br /> <br />잠시 뒤 정원에 도착해 잠깐의 산책을 즐긴 두 정상. <br /> <br />이번엔 김정은 위원장이 운전대를 바꿔 잡아봅니다. <br /> <br />푸틴 대통령이 방북 선물로 건넨, 러시아산 최고급 리무진 아우루스 시승 장면입니다. <br /> <br />[조선중앙TV(지난 20일) : 푸틴 대통령 동지가 김정은 동지께 선물한 승용차를 두 수뇌분께서 서로 번갈아 모시며 영빈관의 아름다운 구역의 구내 길을 다니셨습니다.] <br /> <br />러시아는 지난 2월에도 북한에 똑같은 차량을 선물했다가 한미로부터 경고장을 받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고급자동차나 보석 등 사치품을 금수 대상에 올린 유엔안보리 결의 2094호와 고급 승용차 등 모든 운송수단의 대북 공급과 판매, 이전 등을 금지한 결의안 2397호를 어겼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[임수석 / 외교부 대변인(지난 2월) : 푸틴 대통령이 김정은 앞으로 승용차 선물을 한 것과 관련해서는 모든 유엔 회원국은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를 철저하게 준수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.] <br /> <br />푸틴과 김정은, 두 정상이 국제사회를 더욱 노골적으로 비웃기라도 하듯 차량 시승까지 나선 건데, 이 같은 흐름은 새로 체결된 북러 조약으로까지 이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유엔 등 국제기구의 북러 제재에 맞서겠다는 의도를 내비친 듯한 조항부터(제7조), 한미일 독자제재 등 다른 강제조치 적용 역시 반대한다는 내용(제16조)도 함께 담았습니다. <br /> <br />무역경제나 투자 협조 등 사실상 경제제재를 무력화할 뜻도 내비쳤습니다(제10조). <br /> <br />특히 우주와 생물, 평화적 원자력 등 과학기술분야 협조와 공동연구를 장려하겠다는 내용은 군사 위성이나 대량살상무기 개발로까지 이어질 수 있어 안보리 제재에 정면으로 위반될 소지가 다분합니다. <br /> <br />[봉영식 / 연세대 통일연구원 전문연구위원(지난 20일, YTN '뉴스NOW') : 북한이 원하는 이런 대북 제재에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대겸 (kimdk1028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40622052206584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