리튬전지 화재, 열폭주·인화성 가스탓 진화 어려워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화성 공장 화재는 리튬전지의 특성 탓에 연기가 확산하고 화재 진압에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섣불리 불을 끄려다가는 자칫 또다른 위험에 노출될 수 있기 때문인데요.<br /><br />안채린 기자의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이번에 화재가 난 일차전지 제조업체 아리셀은 리튬전지를 제조·판매하는 공장입니다.<br /><br />리튬은 가볍고 에너지 밀도가 높다는 특성 때문에 휴대전화, 전동 킥보드 등 다양한 곳에 사용됩니다.<br /><br />하지만 한 번 불이 붙으면 쉽게 끌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.<br /><br />통상 리튬전지 화재는 열 폭주 현상에 의해 발생하는데, 물을 뿌리면 오히려 열이 더 오르고 인화성 가스까지 나오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 "리튬은 물과 접촉시에 오히려 인화성 가스를 내뿜는 성질…물에 닿으면 안 되는 물질로 분류합니다."<br /><br />이 때문에 보통 리튬 전지 화재의 경우 모래 등을 이용해 불이 더 번지지 않도록 해두고 화재 발생 지점이 모두 탈 때까지 기다리는 게 최선입니다.<br /><br />다만, 이번 화재의 경우 당국이 마른 모래 등을 활용한 진화를 검토했으나 배터리에 포함된 리튬이 극소량인 것으로 확인돼 일반 화재처럼 물을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공장 내 다량의 배터리가 보관돼 있던 탓에 구조 대원들의 초기 현장 진입은 쉽지 않았던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 "2층에만 리튬배터리가 3만 5천개가 보관돼 있는 상황에서 지속적으로 폭발이 발생했던 상황입니다."<br /><br />배터리 특성상 고온에 노출되면 유해물질이 나오게되는데 소방관들의 안전을 고려해 섣불리 진입할 수 없었다는 겁니다.<br /><br />결국 구조작업도 자연히 늦어질 수밖에 없었던 상황.<br /><br />배터리가 다수 모여있던 것을 두고는 원료인 리튬은 위험물로 분류돼 저장 수량이 정해져 있지만 완제품인 리튬전지는 위험물로 분류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옵니다.<br /><br />전문가들은 리튬전지가 널리 쓰이는 만큼 이를 위험물로 지정해 일일이 관리하는 것은 한계가 있지만, 근로자들의 안전 등을 고려해 관리 방법을 정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안채린입니다. chaeirn163@yna.co.kr<br /><br />[영상취재기자 이태주]<br /><br />#리튬 #화재 #열폭주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