여권 핵무장론 논쟁 점화…"핵 가져야" "당장은 힘들어"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한국전쟁 74주년을 맞아 여권에선 한국의 자체 핵무장론이 이슈로 떠올랐습니다.<br /><br />당권 주자, 또 대권 잠룡들까지 가세해 입장을 내놨는데, 시기 등을 두고 갑론을박이 오갔습니다.<br /><br />정다예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가장 먼저 핵무장론을 띄운 건 나경원 의원입니다.<br /><br />국제정세가 급변하고 있다며 핵무장이 필요한 때라 주장했습니다.<br /><br /> "최근에 러시아와 북한이 가까이 하는 것, 지금 북한의 핵능력이 이제는 북한이 사실상 핵보유국가로 인정될 수밖에 없는 정도로…."<br /><br />대권 '잠룡'으로 분류되는 여권 인사들도 비슷한 의견을 냈습니다.<br /><br />오세훈 서울시장은 "우리가 핵을 갖지 않으면 핵 그림자 효과에 영향을 받을 것"이라고 했고, 홍준표 대구시장도 "불바다 될 것을 각오하고 미국이 서울을 지켜줄 수 있냐"며, 핵확산방지조약, NPT 탈퇴 필요성을 언급했습니다.<br /><br />반면 나 의원과 경쟁하는 당권 주자들은 당장은 시기상조라며, 실효적인 대안이 필요하다 주장했습니다.<br /><br /> "한반도 영해 바깥에 핵무기를 탑재한 잠수함 전략자산을 갖다 놓고 한미 간 핵공유협정을 맺는 게 훨씬 더 현실적인 방안이다…."<br /><br /> "핵무장할 수 있는 잠재적 역량을 갖추는 게 지금 시점에서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. 농축재처리 기술 같은 것을 보유하는 방법들로 말이죠."<br /><br />원희룡 전 장관도 "지난해 워싱턴 선언의 실효성 확보를 위해 대북 핵억제력을 강화할 때"라며 독자적 핵무장에 신중한 입장을 밝혔습니다.<br /><br />각자 입장을 두고 신경전도 이어졌습니다.<br /><br />한 전 위원장은 홍 시장을 겨냥해 "NPT 탈퇴는 북한이 유일하게 시도한 방식"이라고 반박했습니다.<br /><br />나 의원은 한 전 위원장의 '핵 역량 확보' 주장에 "이도저도 아니고 어정쩡하다"고 비판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정다예입니다. (yeye@yna.co.kr)<br /><br />[영상취재기자 신경섭·김상훈]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